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정치 최신뉴스

울산 정가도 거센 반발‥ 국민의힘 일부도 반대

◀ 앵 커 ▶

윤석열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선포는 울산지역 정가에서도 거센 반발에 직면했습니다.

야권은 물론이고, 여당인 국민의힘에서조차 계엄 선포가 잘못됐다는 비판이 터져 나왔습니다.

유희정 기자.

◀ 리포트 ▶

울산지역 국회의원 6명 중 계엄 해제 결의안에 찬성한 의원은 3명입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이 참석해 찬성 표를 던졌고, 진보당 윤종오 의원은 계엄 선포 당시 지역에 있어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여기에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김상욱 의원과 서범수 의원이 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쪽에 투표했습니다.

◀ INT ▶ 김상욱/국민의힘 의원 (울산 남구갑)

울산 시민들께 너무나 송구합니다. 계엄이라는 이런 전대미문의 일을 겪게 만든 데 대해서.. 이 일로 헌정질서나 민주주의의 큰 대원칙이 무너지지 않기를 바라고..

반면 같은 국민의힘의 박성민 의원과 김기현 의원은 표결에 불참했고,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울산지역 야권 정당들은 대통령이 시도한 계엄이 불법이자 민주주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시도였다며, 표결에 불참한 박성민, 김기현 의원에게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INT ▶ 이선호/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울산시당을 이제 윤석열 퇴진 운동본부로 완전히 전환합니다. 그래서 윤석열 정권이 퇴진될 때까지 더불어민주당은 함께 싸워 나가겠습니다.

지자체장들의 태도도 엇갈렸습니다.

(CG) 국민의힘 소속 김두겸 울산시장은 계엄 선포 직후부터 해제를 요구했던 같은 당의 오세훈 서울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등과 달리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계엄 선포 후 약 1시간 반 만에 고위 공무원들을 소집했지만 별다른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국회 표결과 대통령의 계엄 해제 선언 뒤에야 혼란을 초래한 것에 유감을 표하고 국정 안정과 쇄신 조치를 내놓으라는 국민의힘 시도지사 공동 성명에만 참여했습니다.(/CG)

기초 자치단체장 가운데는 진보당 김종훈 동구청장만이 유일하게 비판 입장을 내놨습니다.

◀ INT ▶ 김종훈/울산 동구청장

대통령에 의하여 갑작스레 선포된 비상계엄으로 인해, 온 국민은 비록 짧은 시간이었다고 하지만 극도의 혼란과 공포에 빠져야만 했습니다.

국민의힘 소속 나머지 기초단체장들은 아직까지 의견을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울산에서도 야당을 중심으로 대통령 퇴진 움직임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유희정.

































유희정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