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투데이부산

[부산] 도심 속 흉물된 해양레저특구

[앵커]
해운대구는 해양레저특구로 지정돼 있습니다.

이 조례에 따라, 해양레저시설 4곳이 지어졌는데, 이 중 3곳이 운영 중단 상태입니다.

대부분 수익성에 문제가 있었던 탓인데, 민간에만 맡길 게 아니라 지자체가 나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송정해수욕장 한쪽에 자리잡은 잿빛 건물.

텅 빈 건물 안에는 망가진 계류시설만 썰렁히 남았고, 외관 창문은 곳곳이 깨진 채 방치됐습니다.

주변에는 산산조각 난 유리창이 흩어졌습니다.

지난 2017년 해양레저 체험시설이라며 지은 건데, 재정난으로 현재 운영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 박점순 / 인근 주민 ]
"지나다니다 보면서 안타깝죠. 이 좋은 자리를 갖다가 놀리고 있으니..."

해운대구는 특구법에 따라, 해양레저 기반시설 4곳을 선정했습니다.

민간 사업자에 규제 특례를 줘 해양레저산업을 키우겠다는 취지.

하지만 현재 운영이 되고 있는 시설은 4곳 중 동백섬 마리나 단 한 곳뿐입니다.

이마저도 해양레저라는 취지와 다르게, 상업시설 위주로 일부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운대구청 관계자 ]
"파도가 세고 계류를 해 놓으면 많이 파손되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신 요트라든지 여름 한 철 동안 할 수 있는 제트스키라든지 그런 건 조금 하고 있거든요.

수영강변 센텀마리나파크. 녹슨 시설물과 빛바랜 구명용품만 남았습니다. 상가, 매표소 할 것 없이 텅 비었습니다.

무동력 수상레저기구 체험시설인데, 이곳을 만드는 데 78억원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주차공간이 부족해 방문객이 적었고, 계절과 날씨의 영향이 큰 해양레저 특성 탓에 제대로 된 수익도 없이 사업난이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시설이 건축물로 인정되지 않아 상가 운영 등 부대사업에 제약이 걸리면서 법적 문제가 불거졌고, 결국 운영 중단됐습니다.

애초 해양레저특구 사업 추진 과정에서 사업성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없었고, 별도의 관리가 이뤄지거나 지원책이 없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사업이라는 분석입니다.

[ 김철우 교수 / 영산대 해양레저관광학 ]
"조례까지 만들어서 다양한 규제를 완화해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놨는데 그걸 제대로 활용을 안 한 거죠. 민간에 '너네가 알아서 잘 하라'면서 맡겨 놨던 거죠."

건물을 철거할수도, 특구 지정을 취소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해운대구는 사업 시행 약 10년 만에 세미나를 열어 대책 찾기에 나섰습니다.

지자체가 직접 사업을 지원하는 등 공공성을 높이자는 제안이 나오는 가운데,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현지호입니다.

유영재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