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보호작업장 인권유린

장애인 인권유린 그 후 석 달...원장만 바꾸면 끝?

[앵커]

울산MBC는 지난 7월 장애인보호작업장 내 인권 유린 실태를 단독 보도해 드렸습니다. 그로부터 석달의 시간이 흘렀는데요. 책임기관들이 약속했던 피해자 구제,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김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인권유린 의혹이 불거지자 사과문을 냈던 지체장애인협회.

[주경철/ 울산광역시 지체장애인협회장 (지난 7월)]
"사실 우리 시설장들이 우리한테 보고도 안 하면 저희들이 알 수가 없습니다."

당시 협회는 피해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대책을 찾고 당사자들이 원할 경우 복직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습니다. 석 달이 지난 지금, 피해자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장애인보호작업장으로 다시 돌아온 작업자는 겨우 2명 뿐. 인권 유린을 참다 못해 직장을 그만 뒀던
나머지 10여 명의 장애인들은 여전히 고통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퇴사한 이후 일자리를 찾아다녔지만 새 직장을 구할 수 없었다는 A씨. 부양해야 할 가족까지 있어 마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A씨/뇌병변장애]
"(아내와 자녀가) 뭐 하나사달라고 하면 한 번 더 생각해 보고 꼭 필요하면 사고 아니면 다음에 사자 이런 식으로 하고.."

이에 대해 장애인작업장 측은 그동안 외부기관에서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구체적인 구제 방법을 논의할 시간이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진상조사에 나섰던 관할 지자체도 피해 구제에 소홀한 건 마찬가지. 누가 복직을 희망하는지, 다른 곳에서 일하기를 원하지는 않는지,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울산남구청 노인장애인과 관계자]
"공적으로 할 수 있는 장애인 일자리라든지 그런 쪽으로 연결해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저희 쪽에서도 같이 고민해 보겠습니다." 

장애인복지법 위반 혐의로 장애인보호작업장 원장 등 직원 5명이 검찰에 송치된 이번 사건. 

[기자] 새로 취임한 원장은 작업장에서 발생한 인권유린 사건에 대한 인사위원회를 다음주에 열고 징계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문희입니다. 


김문희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