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P>공업용수를 정수해 식수로 사용하는 기업체가
<\/P>많습니다.
<\/P>
<\/P>그런데 공업용수를 제대로 정수하지 않고 식수로 사용하더리도 음용수로 적합한지를 판정하는 법적 규제조항이 없습니다.
<\/P>
<\/P>(박치현)기자가 취재했습니다.
<\/P>
<\/P> ◀END▶
<\/P> ◀VCR▶
<\/P>울산석유화학공단입니다.
<\/P>
<\/P>상수도가 들어오지 않아 공업용수를 정수해
<\/P>식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P>
<\/P>지하수를 먹자니 오염이 심해 먹을 물이 없기 때문입니다.
<\/P>
<\/P>요즘처럼 가뭄이 심할때는 원수인 공업용수마저
<\/P>오염이 심해 애를 먹고 있습니다.
<\/P>
<\/P>기업체의 자체 정수처리시설이 완벽하지 못해
<\/P>정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P>
<\/P>낙동강에서 끌어오는 공업용수는 고도정수처리를 해야 식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
<\/P>하지만 염소소독에 의존하는 기업체가 많습니다
<\/P>
<\/P>그런데 염소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물속의 유기물과 결합해 클로로포름과 같은 발암물질이
<\/P>생성돼 매우 위험합니다.
<\/P>
<\/P>또 공업용수관은 상수도관과 달리 피막처리가
<\/P>부실하고 노후돼 중금속이 떨어져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P>
<\/P>(S\/U)하지만 공업용수를 정수해 식수로 사용하더라도 음용수 적합판정을 가리는 법적
<\/P>규제조항이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P>
<\/P>현행법상 공업용수는 지하수도,상수원도 아니어서 적용할 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P>
<\/P>◀INT▶ 정수근 보건환경연구원 부장
<\/P>
<\/P>공업용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업체들은 나름대로
<\/P>수질검사를 하고 있지만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P>MBC NEWS 박치현기자@@@
<\/P>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