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릴레이 인터뷰

[반구대 암각화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릴레이 영상 김경진 관장이 들려주는 사슴 암각화 이야기

입력 2020-11-13 07:20:00 조회수 1

김경진/ 울산반구대암각화박물관 관장



안녕하세요 암각화박물관의 김경진입니다.



한반도에는 붉음사슴, 대륙사슴, 사향노루,

노루 등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사슴>들이

서식해왔고 현재까지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반구대 암각화에서도 이러한 사슴들이 모두

잘 나타나 있는데요. 저희가 알고 있듯이

사슴은 <뿔>을 가장 <특징적인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반구대 암각화에는 <뿔의 형태>, <크기>,

<복잡성> 등을 통해서 붉은사슴과 대륙사슴을

구분할 수 있고요. 뿔이 없는 사슴의 종류들도

<둔부의 형태>라던가 <다리의 길이>, <모양>을

통해서 사양노루 라던가 고라니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사슴들이 있지만

그 <특징들을 명확하게 표현함으로써>

반구대 암각화를 새긴 사람들의 <관찰력>과

<표현력>을 함께 보실 수 있겠습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