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미래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으로 바뀌게 되면
완성차 업체 외에도 부품업체 등
관련 산업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생산 분야에만 지원이 쏠리면서
차를 운행하면서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정비 등 관련 분야는
소외되고 있습니다.
유희정 기자.
◀END▶
◀VCR▶
엔진을 중심으로 한 내연기관 대신
전기나 수소로 달리는 미래차는
차량의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
내연기관 차량에 들어가는 부품 상당수는
미래차에서는 필요가 없어지는데,
이는 해당 부품업체들의 업황 부진과
고용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INT▶ 김충윤/서연이화(자동차 내장 부품업체) 상무
앞으로 계속해서 (부품) 전동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며,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시연·인증 시스템까지 구축할 계획입니다.
하청 단계가 내려갈수록 자체 기술력이 없거나
단순 조립에 그치는 경우도 많아,
미래차 전환에 대응할 계획을 세우는 것조차
버겁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부품업체들에
업종 전환과 기술 개발을 돕기 시작했습니다.
부품업체 지원센터를 만들어
미래차 부품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개발 인력도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INT▶ 김명준/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내연기관 중심의 중소 자동차 부품기업을
지능형 전력구동 모빌리티 부품기업으로
전환하고 육성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 되는 선택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미래차 전환 지원 대책은
차량 생산 분야 위주입니다.
차량 정비와 같은 파생되는 산업들도
미래차 전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만
지원은 거의 없습니다.
도로에 미래차가 늘어날수록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은 줄어드는데
내연기관 차량 정비용 기술만 갖춘
정비업계로서는 그만큼 일감이 줄어듭니다..
전기차나 수소차를 정비하고 싶어도
정비소 설비부터 뜯어고쳐야 하고
정비 기술도 새로 배워야 하는데
영세한 업체들로서는 엄두가 나지 않는
일입니다.
◀INT▶ 권덕영/울산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부이사장
(전기차 등을) 정비를 하려면
특수한 장비라든가 시설이라든가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야 되는데,
사실 일반 숍(정비소)에서는 기술적인 지원을
받을 길이 없는 게 사실이고요.
이외에 주유소나 LPG충전소 등
내연기관 차량과 연관된 업종 모두가
미래차 보급이 늘어날 수록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돼
업종 전환이나 미래차 기술 보급 등의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유희정.//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