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해,
7년 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물을 울산 공단에 공급하려다 지역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었는데요.
부산시는 이 물을 반도체 생산에 쓰겠다는
해법을 내놨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송광모 기잡니다.
◀VCR▶
7년째 완전가동이 중단된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
4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한 부산시는
지난해 '반도체 대기업 유치'로
상업화의 길을 찾겠다고 했습니다.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깨끗한 물,
'초순수'를 이 시설에서 공급하겠다는 겁니다.
◀SYN▶ 부산시 관계자 (지난해 11월)
"초순수 물을 쓸 수 있는 기업을 유치하는 겁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그 관련 장비 산업들이거든요. 결론은 좀 시간이 걸리고요."
그러나 부산시가 접촉한 반도체 대기업들 모두
거절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C.G] -----
삼성과 SK, LG 등 반도체 생산 기업들은
'투자계획이 없다', '이미 다른 지역에 투자했다'
'해당 업종 사업을 포기했다'며
거부의사를 밝혔습니다.
[C.G] -----
초순수 공급비용이, 반도체 생산원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겁니다.
◀SYN▶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메모리 반도체 중심으로 하고 있는 삼성이나 SK 같은 대기업들은 평택이나 화성, 인천 중심으로 설치가 다 되어 있잖아요. 인력도 없고 인프라도 부족하고 여러가지 기업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하면..."
올해 5월에도 입주기업에
추가 혜택을 주겠다고 재차 요청했지만,
한 곳도 응하지 않았습니다.
◀SYN▶ 부산시 관계자
"(기업 유치라든가 다른 부분에서 시 계획이 잡힌 게 있나요?) 현재는 잡힌 게.. 힘듭니다."
현재 부산시가 부담하는 해수담수시설의
기본 유지비용만 한 해 8억원.
시설 일부는 국가연구시설로 활용한다는 방침이지만
수백억을 투자한 부산시가 어떤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을지, 현재로선 안갯속입니다.
◀INT▶ 손용구 의원 / 부산시의회
"부산시에 맞는 연구시설로 활용은 할 수가 없어요. 어쨌든 국가시설이 되는 것이죠. 국가가 가져가는 게 맞다. 부산시는 관리, 위탁 형태로 이 시설을 사용하는 그런 형태가 지금 상황으로 보면 딱 맞는 겁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시설 소유권'을 부산시가 갖도록
환경부, 수자원공사와 협약을 맺은 상태여서
당장 손을 떼기도 어려운 상탭니다.
MBC뉴스 송광모입니다.
◀END▶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