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104개교 급식 중단'

이용주 기자 입력 2021-10-20 21:03:30 조회수 0

◀ANC▶

학교 내 돌봄·급식·행정 업무를 맡은

비정규직들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오늘(10/20) 하루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104개 학교가 급식 중단 사태를 빚는 등

역대 파업 중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됐습니다.



이용주 기자

◀VCR▶



초등학교 점심 시간 급식실.



아이들이 집에서 싸온

도시락 가방을 꺼냅니다.



가게에서 사온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는 학생도 있습니다.



급식대에서는 도시락을 못 챙긴

아이들을 위해 빵을 준비했습니다.



◀INT▶ 홍지운 / 옥동초등학교 2학년

"도시락을 여기서 먹어본 적이 별로 없는데

너무 오랜만에 먹으니까 약간 당황스럽고

어쨌든 내가 원하는 거 먹을 수 있으니 좋아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으로

울산에서는 전체 275개 학교 가운데

104개 학교의 급식이 중단됐습니다.



58개 학교는 개인도시락을 지참했고

1개 학교는 간편식을 제공했습니다.



44곳은 단축수업에 들어갔습니다.



◀INT▶ 박정남 / 울산시교육청 급식팀장

"매뉴얼을 전 학교에 안내해서 학교에 파업으로 인해서

운영에 혼선이 없도록 지도했습니다."



이번 파업에는 조합원 4천5백여명 가운데

36%에 달하는 1천2백여명이 참가한 것으로

울산교육청은 추산했습니다.



조리사가 593명으로 가장 많았고

돌봄전담사 180명, 특수교육 107명,

교육업무실무사, 운동부지도자,

영양사, 청소원들도 동참했습니다.



CG) 연대 측은 전 직종 기본급 9% 이상 인상,

근속수당 5만원 인상, 근속수당 상한 폐지,

명절휴가비와 정기상여금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교육당국의 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SYN▶ 지연옥 /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울산지부장

"공짜 노동 문제, 시간제와 무기계약 문제 등

당당한 학교 현장의 교육 주체로 우리 권리를

확고하게 하는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합니다."



정규직과의 차별해소, 임금인상 등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지난 2018년부터 매년 파업이 반복돼 온 울산.



울산시교육청과 학비연대는

이른 시일 내 집단임금교섭과

단체교섭을 재개해 대화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MBC 이용주.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용주
이용주 enter@usmbc.co.kr

취재기자
enter@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