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동 걸린 부유식 해상풍력.. 어민 갈등 봉합 '급선무'

정인곤 기자 입력 2021-10-24 21:18:36 조회수 0

◀ANC▶

울산시의 최대 역점사업인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 보류 결정으로 제동이

걸렸습니다.



해상 시위를 벌이고 있는 어민 갈등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이유

때문인데, 울산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인곤 기자.

◀END▶

◀VCR▶

울산 앞바다에서 58킬로미터 떨어진 동해바다.



바다 위에는 바람개비와 비슷한 각종 장치를

달고 있는 풍향자원 계측 장비 '라이다'가 떠 있습니다.



정부의 그린뉴딜정책의 핵심 축 가운데 하나인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기위원회가

울산의 해상풍력 사업에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인근 어민 등 주민 반발이 여전히 강하다며

주민 수용성을 문제로 사업 허가를 보류한

겁니다.



실제로 일부 어민단체가 해상풍력 보상금 70억 원을 독차지하자,

해경이 해당 어민단체를 압수수색 하는 등 진통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문제는 한국석유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INT▶ 권명호 / 국민의힘 국회의원

"피해가 우려되는 전체 어민들을 대상으로 제대로 된 공청회나 설명회 없이 일부하고 합의한 것이 주민 수용성이 있다고 생각을 하십니까 사장님?"



해상풍력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추진중인 울산시는

사업 허가 보류 소식에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CG) 울산시는 어민들 간 갈등을 해결하는 것도 사업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며, 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 의견을 모아 재심의를 통과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의 해상풍력 목표 발전량인 12GW 가운데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어민 갈등을 봉합하고 본 궤도에 오를 수 있을 지

울산시의 대응에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MBC뉴스 정인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정인곤
정인곤 navy@usmbc.co.kr

취재기자
navy@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