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대구에서 제2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이
추진됩니다.
IT와 접목한 미래 운송 수단인
스마트 모빌리티 공장을 짓고
2024년 양산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한태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기업 노사와 자치단체, 민간 대표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농기계 제조회사인 대동그룹과 노동자 대표,
대구시의회와 대구시 등 노·사·민·정은
협약식을 열고,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을
하기로 했습니다.
◀INT▶원유현 대표/(주)대동
"대구시가 국가 로봇 산업의 중심으로
발돋움하여 대구형 일자리를 성공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경기도 안산의 운송 수단 제조업체인
대동그룹 계열사 대동 모빌리티가
달성군 대구국가산업단지 10만㎡ 터에
천 800여억 원을 투자해
대구에 제2공장을 짓습니다.
물류 배송용 e-바이크를 비롯해
AI를 활용한 서비스 로봇,
전동화 차량 제품 등
미래 운송수단 사업을 펼칩니다.
올해 착공해 오는 2024년이면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상생형 일자리' 사업으로
지역 노·사·민·정이
함께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INT▶김호인 노조위원장/대동모빌리티
"상생 협약식 이후에도 우리 직원들의 수고,
희생하는 점 등 함께 해결해야 할 여러
사안들이 많습니다. 더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리겠습니다."
지난 2019년 이래AMS사의
노·사·민·정이 체결한
상생형 일자리 1호 기업 이후 두 번째입니다.
◀INT▶권영진 대구시장
"영호남 지역은 일자리 하나 만들려면
이렇게 같이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일자리 만들기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거
같습니다."
이번 사업으로 직접 고용 300명을 비롯해
협력사 고용 500명 등 모두
800명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전망입니다.
앞으로 노·사·민·정 협의회를 구성해
투자와 고용 계획, 지역사회 공헌,
상생 연구 개발기금 조성 등을 점검한 뒤
내년 2월 정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한편, 오는 12월에는 LG화학이
구미 5공단에 5천억 원을 투자해
양극재 공장을 신설하는
'구미형 일자리사업'을 정부에 신청할
예정입니다.
MBC 뉴스 한태연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