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연속기획] 자전거에서 잠수함까지.. 수소의 무한 확장

유희정 기자 입력 2021-11-10 22:05:04 조회수 0

◀ANC▶

울산에서 처음 개최되는 수소에너지 전시회를 맞아

수소경제의 현주소와 과제를 짚어보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수소 활용 기술이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알아봅니다.



자동차를 중심으로 시작된 수소 산업은

다양한 이동 수단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유희정 기자



◀END▶

◀VCR▶



페달을 살짝만 밟아도

금방 앞으로 나가는 자전거.



작은 모터를 달아 추진력을

보조해주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먼 거리를 달릴 수 있습니다.



모터를 돌리는 힘은 생수병 정도 크기의

이 작은 수소 탱크와 손바닥만한

수소연료전지에서 나옵니다.



◀INT▶ 김동현/수소자전거 개발업체 전임연구원

전기자전거 같은 경우에는

(주행)거리가 60km 정도 내외로 다니는데,

저희 수소연료자전거 같은 경우에는

한 번 가득 충전했을 때 최대 150km까지

주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



공장에서 원료와 제품을 나르고

간단한 작업도 할 수 있는 무인 운반차.



(투명)전기 배터리를 사용하면

6시간만 쓸 수 있는데,

수소연료전지는 한 번 충전으로

1달까지 운영할 수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를 실은 새로운 지게차는

이미 울산지역의 물류업체에서

시운전에 들어갔습니다.



(S/U)수소연료전지 지게차는

이 밸브를 통해 수소 가스를 충전하는 데

5분도 걸리지 않고, 최대 6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를 아주 크게 키우면

거대한 선박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 레저용 보트는 기존의 디젤 모터 대신

수소탱크 8개와 수소연료전지를 실었습니다.



지금의 기술로는 소형 선박을 움직일 수

있는 정도지만, 이미 안창호함 같은

국산 잠수함의 보조 동력으로 쓰이는 등

상용화도 시작되고 있습니다.



◀INT▶ 최열/수소선박 개발업체 기술고문

(수소연료전지를 가동하면) 물과 전기가 생깁니다.

오히려 부산물인 물이, 그 물은

배 내에서 청소에도 쓸 수 있고

음용수로도 쓸 수 있고, 그래서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하는 배는 부산물이 제로(0)인 셈입니다.



승용차로 시작된 수소 산업은

이제 수많은 이동 수단의 동력에 활용되며

그 가능성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MBC뉴스 유희정.//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유희정
유희정 piucca@usmbc.co.kr

취재기자
piucca@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