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울산시가 그동안 민영 방식으로
운영하던 버스 서비스를
준공영제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버스 이용률이 떨어지고
버스 업체들의 재정난이 심각해져
지자체가 직접 나서는 게 낫다는 판단입니다.
유희정 기자.
◀END▶
◀VCR▶
울산의 유일한 대중교통수단인 버스.
지역 주민들의 주된 이동 수단이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CG)이용객은 매년 줄어들고 있고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유행의 영향으로
감소폭이 더 컸습니다.
그만큼 버스 회사들의 적자는 쌓여서
울산시가 주는 지원금도 급격하게 늘어
이제는 버스 운영 재정의 95% 수준을
울산시가 내 주고 있습니다.(CG)
그런데도 울산지역의 버스 업체 21곳 중
20곳은 자본이 빚에 완전히 잠식됐고
최근에는 신도여객이 파산하기도 했습니다.
◀INT▶ 양재원/울산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95%의 재정지원을 받고 운영한다는 건
5%의 손실을 안고 운영한다는 것인데,
그 역시도 저희들한테는 경영에 상당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 이상 민영 방식으로는
버스 서비스를 개선해 이용객을 늘릴 걸로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겁니다.
울산시가 오는 2023년 하반기를 목표로
준공영제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한 주된 배경입니다.
준공영제는 기존의 버스 회사들이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되,
지자체가 수입금 관리와 노선 운영 권한을 갖고
재정 부담도 완전히 책임지는 제도입니다.
◀INT▶ 송철호/울산시장
어떻게 하면 시민들에게 최고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그런 관점에서 우리의
뜻과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하겠습니다.
다만 준공영제는 버스 운영의 주체가
바뀌는 것일 뿐, 서비스 개선이나
공공성 확보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건 아닙니다.
또 버스 업체들이 경영 개선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지 않고
지원금에 기대는 등 오히려 방만한 경영을
하게 될 우려도 있습니다.
MBC뉴스 유희정.//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