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정부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발전소 내에 계속 보관하기로 했습니다.
사실상 원자력발전소에 폐기물을
영구적으로 보관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울산시도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유희정 기자.
◀END▶
◀VCR▶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지어진 '맥스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해 놓는 시설입니다.
이 폐기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영구 저장시설은 아직 갖춰지지 않아서
원전 부지 안에 임시로 저장해놓고
처분을 기다리는 실정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정부가 5년 만에 내놓은
제2차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은
기존 방안보다 더 후퇴했습니다.
(CG)1차 계획에는 원전 부지 안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해두는 걸
'한시적 관리 방안'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번에 나온 계획에서는
'원전 부지 내 저장시설의 한시적 운영'이라고
명시했습니다. (/CG)
이럴 경우 원전 부지 내의 저장 시설이
사실상 영구 저장소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에서 향후 37년 안에
영구 저장시설을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지난 1986년부터 현재까지 36년 가까운 세월 동안
저장시설 건설 논의는 한 치도 진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전국에서 가동되는 원전은 모두 24곳.
이중 울산에서는 신고리 3, 4호기가 운영되고 있고,
5, 6호기가 건립 중입니다.
◀INT▶ 이상홍/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관리 기본계획에 버젓이 '부지 내 저장시설'이라는
이름으로 핵발전소 주민들에게 계속해서
핵 폐기물을 떠넘기는...
울산시도 부산과 전북, 경남 등 원전 소재 지자체들과 함께
이번 계획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원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하고,
원전 부지 안에 임시로라도 저장시설을 만들 거라면
이를 영구 저장시설을 선정하는 수준으로
법적 근거를 만들어
충분히 논의한 뒤 결정하라고 요구했습니다.
MBC뉴스 유희정.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