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부산] 충전 중 '펑'...전기차 관리 사각 충전소

유영재 기자 입력 2022-01-06 14:00:07 조회수 0

◀ 앵커 ▶

전기차 충전 도중 전기차 충전기 케이블 문제 때문에
차량 배터리가 망가지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전기차 충전기 관리업체의 경우,
정기점검 의무도 없고,
정부의 감독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달 12일, 기장군의 한 아파트 주차장.

전기차에 충전기를 꽂고 돌아서자마자
불꽃이 번쩍입니다.

차량 연결구에서 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운전자가 다급하게 담요를 덮어
충전기를 떼냅니다.

[ A씨 / 피해자 ]
"거의 폭탄 같은 굉음이었고.. 타는 냄새가 지하 전체에 다 퍼질 정도였고요."

결국 차량 배터리는 망가져 못 쓰게 됐습니다.

조사 결과, 원인은 충전 케이블이었습니다.

[충전기 업체 관계자 ]
"스파크가 발생해 케이블 쪽이 약간 녹아서.. 케이블 쪽에서 이렇게 스파크가 발생해서 문제가 생긴 건 저희도 처음인데요."

(CG)==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전기설비 사업자 면허만 있으면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정부 지원금까지 받습니다.==

1년에 한 번 정기점검을 하도록 했지만,
강제 규정도 아니고, 결과를 보고할 의무도 없습니다.

[ 00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 ]
"관리를 했는지 안 했는지 알 수 없고요. (2021년) 3월부터 해서는 한번도 안 왔습니다. 안 왔는지 어찌 했는지 모르겠는데 일단 관리실에 들르지는 않았어요."

전기차 충전기는 2년까지
설치업체가 관리 의무를 갖지만,
그 이후에는 관리주체에 대한 규정이 없습니다.

때문에, 설치 후 2년이 넘으면
사실상 방치되는 겁니다.

[ 김필수 / 한국전기차협회 회장 ]
"기준 자체가 굉장히 미흡하다 이렇게 보시면 돼요. 정기점검을 한다, 한다는 게 중요한 게 아니에요. 어떤 점을 관리하고 어떻게 문제가 생겼을 때 퇴출을 하고.. 이런 후속조치가 중요한 거죠."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7만2천여대.

이 가운데 6만여대를
지난해 기준 33개 민간업체가 관리하고 있는데,
대부분 직원 50명이 안되는 소규모입니다.

MBC뉴스 현지호입니다.

◀ 끝 ▶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유영재
유영재 plus@usmbc.co.kr

취재기자
plus@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