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울산에서도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코로나19 검사 물량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늦어도 다음 달 7일부터는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무제한 PCR검사 제도가
폐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유희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END▶
◀VCR▶
약국에서 팔고 있는
코로나19 자가진단 키트.
개인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간단히 확인하는 용도로 쓰이는데,
최근 들어 이 키트를 사놓으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INT▶ 서진혁/약사
회사에서 직원들을 전부 다 PCR검사 하러
(임시선별검사소로) 보낼 순 없으니까
아침마다 (자가진단키트로) 검사를 한다든가
이런 경우도 있는 것 같고요.
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바로 검사해서..
회사를 전부 다 스톱(업무 중단)할 수는 없으니까..
집단감염이 많이 발생한 일부 지역은
약국에 재고가 모자랄 정도입니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7일부터는
자가진단 키트의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S/U) 앞으로는 약국에서 이 자가진단키트를
구입하거나, 보건소에서 지급을 받아
직접 검사를 해본 뒤 양성이 나와야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정식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광주와 전남, 경기도 안성과 평택이
이미 이 제도를 시행중이고
울산은 늦어도 다음 달 7일부터 실시합니다.
기존 임시선별검사소는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 등
감염 위험이 높은 경우만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투명) 이렇게 된 건 오미크론 변이의
지역 사회 감염이 시작된 뒤부터
임시선별검사소를 통한 검사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INT▶ 조은진/울산시 감염병관리과장
(검사)할 수 있는 역량 자체를 넘어버리기 때문에
이 검사량을 다 감당해 낼 수가 없는 상황이 됐고,
자가진단검사라든지 (PCR 검사 물량을)
한 단계를 걸러 주는 그런 단계로
지금 나아가는 방향입니다.
정부도 전국의 보건소에 한 곳당 최소 1천 개씩
자가진단 키트를 배포하기 위해
물량 확보에 나서고 있어,
울산의 확산세가 지금보다 더 커지면
자가진단 키트 물량이 모자랄 우려가 큽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마스크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상황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지자체가 자가진단 키트를 미리 확보할
방안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유희정.//
- # 코로나주요뉴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