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만성 정체' 국도 7호선 경주구간...왜 확장 안 되나

유희정 기자 입력 2022-03-03 20:43:50 조회수 0

앵커 │

울산과 경주를 잇는 국도 7호선의

만성적인 교통 정체를 풀기 위해

국도를 확장했지만 여전히 정체가

계속된다는 소식, 지난 주에 전해 드렸습니다.



이 문제를 풀려면 울산과 이어지는

경주 쪽 국도를 확장해야 하는데,

앞으로 최소한 5년은 지금처럼 불편을

감수할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유희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



국도 7호선의 울산과 경주 경계 지점.


울산 구간은 왕복 6차로 확장이 끝났지만

경주 구간은 4차로로 남아 있습니다.



차로가 줄어드는 경주 구간부터

병목 현상과 정체가 빚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상습적인 교통 정체는 물론이고

교통사고까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도

여전히 확장되지 않은 채 왕복 4차로로 남아 있는 곳은

이곳 울산과 경주의 경계부터

경주 모화사거리까지 약 2.6km 구간입니다.



국도 7호선은 국가 소유의 도로이기 때문에

도로 확장을 결정하거나 비용을 대는 것도

국가의 몫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부터 국도 중

병목현상이 심한 곳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경주시는 이 계획에 국도 7호선을 포함해 달라고

건의했는데, 실제로 개선 사업에 선정될 지는

올해 말이 되어야 알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교통량, 그리고 (국도의) 서비스 수준,

사망사고·교통사고 건수, 그런 걸 보고 있고,

경제성(도 봅니다.)



만약 선정이 되더라도

공사는 2027년에나 끝날 예정이고,

예산 조달이 늦어지면 더 미뤄질 수도 있습니다.



적어도 5년 이상은 지금의 불편이 계속된다는

뜻입니다.


이 불편을 빨리 끝내기 위해

경상북도나 경주시가 직접 비용을 들여

국도 7호선을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국가의 허가를 받기만 하면 곧바로

확장 공사에 착수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600억 원에 달하는 공사 비용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

지자체에서 하기는 좀 부담이 되죠. 이 사업이.

지자체 재정도 어려운데 국가가 할 사업을

지자체에서 한다는 게 좀 어렵지 않습니까.



울산의 생산시설과 생활 기반이

경주로 꾸준히 확장되고 있는 만큼

울산으로서는 경주 구간 확장이

한시라도 급하지만,



다른 지자체의 권한 영역이다 보니

직접 손을 대지도 못한 채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MBC뉴스 유희정.//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유희정
유희정 piucca@usmbc.co.kr

취재기자
piucca@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