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울산에서 코로나19에 확진돼 격리중이던
의무경찰들이 격리 장소를 무단 이탈했다
적발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코로나19에 걸려 자가격리하라는 통지를 받고도
이를 어기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데,
확진자가 너무 많이 늘다보니,
지자체도 손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희정 기자.
리포트|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돼
격리 장소에서 생활하던 의무경찰 4명이 사라졌습니다.
경찰이 찾아나섰더니
이들은 인근의 PC방에 있었습니다.
경찰은 이탈한 의무경찰들을
곧바로 격리 장소로 복귀하도록 했고
징계를 내릴 예정이라며,
불시점검 등 격리중인 의경에 대한
관리 감독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는 오히려 관리가 잘 된 편에 속합니다.
확진자가 일반시민일 경우에는
관할 지자체가 사실상 관리에 손을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확진자에게 자가격리 앱을 설치해
건강 상태를 입력하거나 GPS 위치 정보로
자가격리 준수 여부를 확인하던 절차가
사라졌습니다.
여기에 집중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는 일반관리군 확진자에게는
체온계나 해열제 같은 재택치료 키트도
제공되지 않아, 확진자가 집을 벗어나
약을 사러 나가도 제재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여기에 식당이나 목욕탕, 유흥업소 등
코로나19 전파 위험이 높은 시설에 대한
방역패스 제도도 중단됐습니다.
[여태익/울산시 시민건강국장]
확진자 숫자가 관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나와버리고 (있어서,) 중증화율로 가는 거를
낮추고 치명률을 낮추는 게 목표가 되어야 해요.
집 밖으로 나와 있는 확진자가 얼마나 되는지
어디서 확진자를 마주칠 지 알 수 없어
각자 방역수칙을 최대한 준수하는 게
최선인 실정입니다.
MBC뉴스 유희정.
- # 코로나주요뉴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