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초광역 메가시티 계승..경제·교육 협력 관건

이상욱 기자 입력 2022-04-03 20:23:38 조회수 1

앵커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초광역 메가시티 정책을 계승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속도가 가장 빠른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와 교육 분야에서 미묘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고,
울산과 경남에서 부산 위주의 메가시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상욱 기자.

리포트 │
대통령직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위는
초광역 메가시티 출범을 주요 과제로 결정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공들여온 초광역 메가시티 정책을
더욱 계승 발전시키겠다"는 것이
인수위 기본 방침입니다.

초광역 메가시티는 비수도권 지역을
5개 권역으로 묶어 발전시킨다는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이 가장 빠른 속도로
구체화되고 있는데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엇갈린데다
정권교체기 중앙정부도 팔짱을 끼면서
부울경 특별연합 2월 출범 계획은 무산됐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인구 유입에 필수적인
경제와 교육 분야 교류입니다.

부울경 3개 연구원이 공동 수행한 용역에서
울산은 수소 경제권 구축과 제조업의 스마트화가
주요 과제로 꼽혔습니다.

하지만 정작 울산의 취약 분야인 서비스
산업 육성은 빠져 있어 탈울산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최진혁 울산상의 경제총괄본부장]
"울산의 특화산업인 수소산업과 바이오메디컬을
포함해 취약분야인 서비스산업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해
나가겠습니다."

울산과 경남이 이미 시행 중인
대학 학점 공유와 지역 인재 공공기관 합동 채용에
부산만 빠진 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부산시는 교육부 공모를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부울경 광역연합 대학공유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부산시 관계자]
"부산 같은 경우는 신규사업으로 (교육부)공모를
신청해서 선정이 되면 기존에 하고 있던
울산 경남 플랫폼하고 같이 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장점을 살리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대승적 결단을 내리지 않는다면
부울경 특별연합이 출범하더라도
그 효과는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MBC뉴스 이상욱//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상욱
이상욱 sulee@usmbc.co.kr

취재기자
sulee@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