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벌 대신 드론... 효과는 기대 이상

이돈욱 기자 입력 2022-04-07 20:45:31 조회수 0

앵커 │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에 옮겨붙어야 열매가

열립니다.



이걸 수분이라고 하는데요.



원래 벌이 하던 일이지만 벌이 사라지다 보니

사람이 일일이 꽃가루를 옮기다,



이제는 드론으로 대신했더니

효과가 기대 이상이라고 합니다.



이돈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


봄의 전령 벚꽃을 닮은 배꽃이

흐드러지게 피었습니다.



농부들에겐 이 꽃이 피는 시기가

가장 바쁘고 중요한 때입니다.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에 옮겨붙어야

열매가 열리는데, 이걸 할 꿀벌들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김순미 / 배 재배 농민]

"옛날에는 다 그래했어요 자연적으로
벌이 와가지고. 그런데 벌이 점점 사라지니까.
어쩔 수 없이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이렇게 하는 거죠."



그래서 사람이 '벌꿀 일'을

대신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람이 직접 꽃가루를 옮기려면

약 천 제곱미터 그러니까 과수원 면적이

300평만 되어도, 대여섯 명이 꼬박 하루 8시간

매달려야 일을 마칠 수 있습니다.



꽃이 피어있는 시간이 한정적이라

면적이 넓어지면 수십, 수백 명이

매달려야 합니다.


배꽃이 이렇게 활짝 피는 건 열흘 남짓.
꽃가루를 묻히는 수분 작업을 하려면
날씨가 좋아야 하기 때문에
보통 일주일 안에 작업을 마쳐야
한 해 농사를 제대로 지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농촌일손 부족으로 어렵게되자

농부들은 해답을 드론에서 찾았습니다.



드론이 벌 대신 과수원을 날아다니며

가득 실은 꽃가루를 골고루 뿌리는 겁니다.



시간도 인건비도 절약되는데다

효과도 기대 이상입니다.


[이종민 / 드론업체 대표]

"작년도 1차 시범 사업에서 결과가 나왔지만
100% 착과율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현재

드론으로 인공 수분은 효과는 이미 검증이…"



드론을 활용한 인공 수분 시범 사업은

내년까지 대상 농가를 확대해 가며

착과율 비교한 뒤,



효과가 최종 확인되면 배 농가 전역으로

확대 실시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이돈욱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돈욱
이돈욱 porklee@usmbc.co.kr

취재기자
porklee@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