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연속> 소형 모듈 원전, 차세대 원전 대세될까?

홍상순 기자 입력 2022-04-11 20:46:13 조회수 0

앵커 │

울산MBC는 차기 정부의 원전 정책 변화가

울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는

연속 보도를 준비했습니다.



새 정부가 탈원전 정책 폐기를 선언하면서

그동안 위축됐던 원전 관련 산업은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유니스트는 소형 원전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홍상순 기잡니다.


리포트 │


유니스트의 한 연구 실험동.



우리나라에서 자체 개발한 원전, APR1400을

8분의 1로 축소한 모델이 눈에 띕니다.



유니스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원전 사고 위험성을 1초 만에 판단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차세대 소형 원전을 활용한 또 다른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냉각제로 물이 아닌 납 등 액체 금속으로

원전을 식히는 실험입니다.



액체 금속을 이용하면

사용후 핵연료 처리가 지금보다 용이해집니다.


현재 원전은 사용 후 핵연료를

처리하는게 큰 골칫거리인데

이걸 소각 처리하는 것도

차세대 원전의 연구 과제 중 하나입니다.



선박에 소형 원전을 탑재하면

30년 이상 연료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도출했습니다.



기존 대형 원전에 비해 발전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은
소형 원전을 6기 또는 12기로

모듈화해서 해결할 계획입니다.


[방인철/유니스트 원자력공학과 교수]

대형 원전에 비해 안전을 위해 소형화를 추구하고

대형원전의 경제성을 맞추기 위해 모듈화 기술을 개발하는게
현재 연구 트렌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울산시는 수소 생산에 필요한 전기를

부유식 해상 소형 원전에서 가져오기로 구상하고

내년에 연구 개발비 450억 원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입니다.



차세대 원전 산업이 울산에 어떤 동력으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홍상순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홍상순
홍상순 hongss@usmbc.co.kr

취재기자
hongss@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