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굵직한 선거는 정리가 되어가고 있는데
시의원과 구·군의원을 뽑는 지방의회 선거는
대혼란에 빠졌습니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선거구가 뒤바뀌면서
그동안 열심히 지역구를 다니던 예비후보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돈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개정된 공직선거법이 시행되면서
북구와 울주군의 선거구가 바뀌었습니다.
북구는 1선거구에 있던 강동동이 농소1동과
송정동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3선거구로
옮겨갔습니다.
효문과 양정, 염포동 주민들을 부지런히 만나던
후보들에게 갑자기 북구의 절반 가까운 면적의
지역구가 새로 생긴 겁니다.
[강진희 / 북구 다선거구 예비후보]
인구는 1만 6천 명 정도 되는데 워낙 면적이 넓어서
그 주민들을 사실은 다 만날 수 있을지가 걱정이고
주민들도 사실 누가 나왔는지 모르게 (투표해야 하고)
그나마 북구는 기초의원 수가 8명에서 9명으로 늘어나,
후보자들 입장에서 부담이 적어진 면도 있습니다.
울주군은 2선거구였던 청량읍이 1선거구로
옮겨가고, 2선거구와 3선거구가 아예 바뀌는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당장 9명이나 되는 2선거구 예비후보들이
3선거구로 재등록을 해야 하고,
1선거구까지 14명이나 되는 예비후보들이 모두
선거전략을 새로 짜야 합니다.
[공진혁 / 울주 1선거구 예비후보]
(청량읍이) 다른 쪽에 있다가 지금 이제 왔으니까.
평소에 거기 가서 봉사활동이나 같이 어울려서
뭘 하고 이랬던 그런 곳이 아니다 보니까...
또, 선거구 변화에 따라 범서 지역 군의원 수도
3명에서 2명으로 줄어들어 더 큰 혼란이
생기고 있습니다.
선거 6개월 전까지 마무리하도록 되어있는
선거구 획정이 선거 코앞까지 미뤄지며,
지역 사정이나 주민 의사와는 관계없이
선거구를 나누다 보니 벌어진 일입니다.
[김지훈 / 울산시민연대 사무처장]
정당들만 결정할 것이 아니라 정치의 발전이라든가
시민들의 어떤 권리 확보를 위해서도
시민 사회 입장들을 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장이 열려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방선거까지 남은 시간은 꼭 40일.
선고를 코앞에 두고 벌어진 혼란으로 인한
피해는 결국 주권자인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MBC뉴스 이돈욱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orklee@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