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대기업들이 앞다퉈 인력 채용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중소 규모의 제조 기업들은 여전히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임금은 낮고 노동 강도는 높은 제조업 중심의 이른바 '3D 업종'에는 구직자들이 취업을 꺼리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외국인 근로자 채용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고 합니다.
이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IT 벤처기업.
산업분야 메타버스와 안전 ICT기술을 개발하는 업체입니다.
2016년 창업 당시 직원이 단 한명이었는데 지금은 40명이 넘습니다.
지난해에는 8명이나 신규 채용했습니다.
반면, 제조업 중심의 중소기업들은 사정이 완전히 다릅니다.
조선기자재를 납품하는 이 업체는 지난해 말부터 인력채용 공고를 냈지만 찾는 사람이 아예 없습니다.
간간히 오던 전화 문의도 끊긴 지 오랩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으로 임금이 줄어든 탓에 기능공들이 일당을 더 많이 주는 건설현장으로 빠져 나간 뒤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조선 협력사 대표]
작업강도나 이런 부분이 힘들다고 보고 작업 단가도 다른(건설) 현장보다 많이 적기 때문에 밖으로 나간 근로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외국인 고용쿼터제를 폐지해서 코로나19로 입국이 제한됐던 외국인 숙련노동자 고용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인 지난 2019년 울산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는 4천 명에 달했지만 지금은 2천 4백명 정도입니다.
[신주홍 고용노동부울산지청 지역협력과 팀장]
기존에 일하던 외국인들이 나간 경우도 있지 않습니까? 그런 경우 새로운 피(외국인)가 수혈이 안 되니까 조금씩 줄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는 달리 국내 10대 대기업들은 향후 5년 동안 34만 명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대차도 3년 동안 국내에서 3만 명을 직접 채용하기로 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채용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승우/울산상공회의소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선임연구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인력 양극화 현상을 비롯한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미스매칭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에 주력하겠습니다.
일자리 창출 없이는 울산의 인구감소를 막을 수 없는 만큼 민선 8기 출범을 앞둔 지방정부와 상공계가 그 어느때보다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입니다.
MBC뉴스 이상욱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sulee@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