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시민의 수십년 숙원,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최근 기획재정부 심의를 통과하면서
사업추진이 확정됐습니다.
이 사업의 핵심은 경남지역의 깨끗한 물을
나눠 쓴다는 건데,
문제는 사업의 전제인 '지역민 동의'를
구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송광모 기잡니다.
[리포트]
부산은 시민 10명 중 9명은
낙동강 물을 식수나 용수로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 오염도를 보여주는 총 유기탄소 농도는
지난 10년 사이 19%나 높아지며
크게 악화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지난 1월]
"낙동강의 오염사고가 발생했을 때, 취수를 할
수 없을 때 저희들은 대안이 없습니다. 비상시를
대비해서라도 저희들은 이 물이 반드시
필요하거든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제시된 게 2조 5천억원 규모의
'낙동강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입니다.
부산은 경남 합천의 황강과
창녕의 강변 여과수 를 끌어와 전체 용수의
44%를 충당한다는 건데,
최근 기획재정부가 경제성이 있다고 보고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키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앞으로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본 실시설계 등을 거치면,
이르면 2025년 착공에 들어갑니다.
3년 뒤, 부산시민들은
기다리던 깨끗한 물을 공급받게 됩니다.
문제는 취수원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아직 얻지 못했다는 겁니다.
실제 사업 계획이 확정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취수원 지역민들은 지하수 고갈 등을 우려하며
부산에 물공급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김찬수 / 낙동강 강변여과수 개발저지 대책위원장]
"10년이 지나면 이 지역 (주민은) 생업을 버리고 떠나야 합니다. 농민들이 이해하고 양보할 문제가 아니라, 생계가 걸린 문제입니다"
주민동의를 전제로 한
'조건부의결' 사업이었던 만큼,
행정절차가 마무리 되고도
삽조차 뜰 수 없게 되는
최악의 상황도 마주할 수 있습니다.
[부산시 맑은물정책과 관계자]
"당초 영향지역, 그러니까 취수원 설치 지역인 합천, 창녕과 협의가 되어야 하는 거죠. 협약서 체결이 돼야 하는 거죠. 그게 좀 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부산시는 취수원 지역 지원 방안을
추가로 마련하는 등 정부와 함께 지역민을 설득해
부산시민의 30년 숙원사업을 반드시
풀어내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송광모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