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바다 방출을 결국 승인했습니다.
당장 수산업 비중이 높은 부산에도 비상이 걸렸는데요.
정부는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인데, 보다 실질적인 대책이 나와야한다는 지적입니다. 첫소식, 송광모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 22일, 일본 정부가 전 세계적인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계획을 인가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1km 떨어진 바다까지 관을 만들어 이르면 내년 봄 방류한다는 겁니다.
가장 걱정되는 건, 오염수에 남아 있는 다량의 방사성 물질입니다.
일본 정부는 삼중수소는 희석하고, 인체에 더 치명적인 60여종의 방사성 물질은 방류 전 없애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검증 대상입니다.
해외 연구들에 따르면 , 이 오염수는 이르면 7개월 뒤 제주도 앞바다에 도달합니다.
특히 부산 등 수산업 종사자들이 많은 도시들은 직접 피해를 입게 될 우려가 커졌습니다.
대형선망뿐 아니라 활어, 조개류를 잡아 파는 일반 상인들까지 피해가 이어질 거란 목소리도 나옵니다.
[부산 수산업계 관계자]
"조그맣게 장사하시는 분들이든 부산의 명소인 자갈치나 이런 곳에서는 수산물 판매량이 더 줄어들 것이고, 원산지가 다르더라도 수산물 하면 '원전 오염수' 관련해서 (먼저 떠올릴 거라 생각합니다)."
더 큰 문제는 오염수 속 방사성 물질이 바다를 타고 언제, 얼마만큼 영향을 줄 지를 다룬, 국내 과학적 연구 역시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오염수 방류를 금지해달라며 부산에서 제기된 소송에서도 피고인 도쿄전력은, 법원에 소송을 기각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오염수 피해주장은 "전혀 입증되지 않았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유통되는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해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는 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승환 / 해양수산부 장관]
"약 100여종에 대해 연간 4천 건 수준으로 방사능 검사를 확대하고, 오염수 해양방출이 본격화될 경우 방사능 검사는 5천건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또 연말까지 국내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일본 정부가 데이터를 어디까지 제공할지 아직 미지수입니다.
정부의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책 없이, 수산업 피해를 막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MBC뉴스 송광모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