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방세를 신용 카드로 대신 결제해주면 높을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런 제안 받았다면 '카드깡'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남에서 이런 카드깡 사기로 한 동네 주민들이 빚더미에 나앉게 생겼습니다.
부정석 기잡니다.
[리포트]
경남에서 자영업을 하는 이 모 씨는 지난해 8월 이웃 박 모 씨에게 솔깃한 제안을 받았습니다.
"다른 사람의 지방세를 대신 결제해주면, 수수료 10%를 더해 돌려주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실제로 두 달 동안 원금과 수수료가 입금되자, 이 씨는 석달 만에 자신의 신용카드 8개로 4억 7천만 원을 결제했습니다.
그런데 박씨가 갑자기 연락을 끊었고, 결국 9천만 원의 빚만 남게 됐습니다.
[이모씨(피해자)]
"처음엔 의심을 전혀 못 했고요..의심이 들 때는 이미 이제 카드 값이 많이 들어갔기 때문에 하는 말을 다 믿었죠.."
40대인 최 모 씨도 박 씨를 통해 3년 동안 12억 원을 결제했습니다.
그런데 약속한 수수료 입금이 자꾸 밀리고 결제 금액도 커지면서 박 씨에게 연락했는데 돌아온 건 경찰에 알리겠다는 협박이었습니다.
'카드깡 공범'이라 처벌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최모씨 피해자]
"카드값을 줄 수 없다 터져버리면(신고하면) 너나 나나 다 죽는다 이런 식으로..우리를 그냥 마음적으로 압박을 하는 거죠"
같은 피해를 본 사람만 현재까지 17명, 모두 경남의 한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로 확인된 피해 금액만 십억 원이 넘습니다.
[염진아 변호사]
"카드사들이 고객들이 카드 금액이 갑자기 많이 늘어난다거나 이상 거래가 늘어나는 경우에..확인 한 번 더 검수해주는 절차를 갖추고 그걸 조금 의무해주면 이런 사기 피해는 줄어들지 않을까"
피해자들은 박씨를 상대로 고소를 진행 중인데, 비슷한 유형의 사기 피해가 지난 2020년 전주 150억, 광주 96억 원 등 해마다 반복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MBC NEWS 부정석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