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신항 웅동배후물류단지에 입주한 업체들이 침하 현상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데요.
이 땅의 소유주인 부산항만공사가 복구 비용 분담 비율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입주 기업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려는 내용의 내부 문건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재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신항 웅동배후단지의 한 물류업체.
창고 바닥 한편이 푹 꺼졌습니다. 바닥 곳곳은 갈라져 울퉁불퉁합니다. 모두 땅이 가라앉는 지반 침하 현상 탓입니다.
준공 당시에는 평지였던 물류창고 바닥이 지금은 제가 바로 못 서있을 정도로 기울었습니다. 이렇게 플라스틱 병을 올려봤더니 마치 미끄럼틀을 타듯 아래로 굴러갑니다.
2014년부터 차례로 입주한 21곳 업체가 추정한 영업 손실 규모는 107억 원입니다.
[입주업체 관계자 ]
"준공 이후보다 한 2년 간에 걸쳐서 집중적으로 침하가 많이 됐고요. 그 이후로도 현재 계속 진행 중에 있습니다."
땅 소유주인 부산항만공사는 지반 침하 보수 비용에 대한 분담률을 정하기 위해 외부 업체에 연구 용역을 의뢰했습니다.
그 결과 부산항만공사가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 전체 사업비 531억 원 가운데 71.6%를 부담해야 한다는 안이 1안으로 나왔습니다.
하지만 부산항만공사가 최근, 분담률을 50%로 낮추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부 문건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입주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부산항만공사가 매립한 땅인 데다 연구용역 결과보다도 턱없이 낮은 분담률을 제시하고 있다는 겁니다.
[황계인/부산항신항배후단지물류협회 사무처장 ]
"대한민국 최고 학회인 대한토목학회에서 도출한 결과를 가지고서 해야 되는데, 그걸 모두 무시해버리고 50% 정도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지원해주겠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죠."
부산항만공사는 "중재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다양한 안을 검토하고 있을 뿐 분담률을 결정한 사항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부산항만공사와 업체들의 이견을 중재하기 위한 대한상사중재원의 제2차 심리는 다음 달(9월) 19일에 열립니다.
MBC 뉴스 이재경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