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도 정부의 지역화폐 예산이 한푼도 배정되지 않으면서 부산의 동백전도 존폐위기에 몰렸습니다.
부산시는 자체 예산을 들여서라도 동백전은 이어간다는 방침인데... 발행 규모와 실행 계획은 불투명합니다.
국회가 나서서 예산을 되살려야 한다는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곳에 지역화폐 예산 삭감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대구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부산시는 지역 경제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지역 시민 사회에서는 정부 예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부산의 소상공인과 소비자단체를 비롯해 동백택시 효과를 누려온 개인택시조합까지 한 목소리로 냈고, 주민들은 서명운동에 들어갔습니다.
국비를 요구하는 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이번 달 대통령실에 대정부 요구안을 전달한다는 계획입니다.
[박오숙 / 동래주민대회 조직위원장]
"정부는 지역화폐 예산 삭감을 철회하고 지원예산을 재편성해야합니다. 부산시는 수요 중심의 예산 편성으로 동백전 안정적 운영을 보장해야 마땅합니다."니다."
국정감사에서도 연일, 찬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예산 심사에서 지원금 6천700억원을 그대로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와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감언이설로 표는 몽땅 받아놓고 정작 동냥, 동냥이 아닙니다. 쪽박 깨는 일입니다. 왜 (지역화폐 예산을) 한푼도 안줍니까?"
경제적 효과가 없는 선심성 정책이라는 여당의 주장이 맞서고 있습니다.
[엄태영 / 국민의힘 ]
"지역화폐는 현금 중독성, 현금깡에 불과하다. 이제는 시대적으로 지역화폐의 필요성이 끝났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올해 부산시가 정부로부터 받은 동백전 예산은 591억 원.
정부의 뜻대로, 국비가 한푼도 지원되지 않으면 부산시가 자체 재원을 투입하더라도 동백전 발행 규모는 반토막 날 전망입니다.
MBC 뉴스 윤파란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