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포화상태에 이른 원전의 사용후핵연료를, 그대로 원전 부지에 저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부산에도 원전이 있는데, 지역이 핵 발전소 위험에, 폐기물까지 떠안으라는 건데요.
공평하게 각 지자체의 인구수에 따라 사용후핵연료를 나눠서 보관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핵 폐기물을 상징하는 드럼통 다섯개가 놓였습니다.
부산과 울산, 울진, 경주, 영광, 모두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지역입니다.
사용후핵연료를 원전 부지에 보관하는 방안이 추진되자, 지역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지역 환경단체들이 반대 목소리를 높이며, 서울시청 앞에 모인 겁니다.
핵심은 인구 수에 비례해 핵 폐기물을 놔눠 보관해야 한다는 것.
전기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곳이 서울과 경기도라며, 수도권이 이 문제에 답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전력사용량 1위 경기도는 응답하라!"
대기업과 공장이 몰려 있는 경기도는 전국에서 전기 사용량이 가장 많습니다.
서울은 인구 수 1위를 차지하지만 전기 자급률은 11%에 그칩니다.
이런 극단적인 에너지 불균형 상황인데도, 원전 지역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까지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 몰린 겁니다.
이들은 사용후핵연료를 인구수에 따라, 옮겨 저장하는 방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서를 전달했습니다.
[용석록 /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대외협력국장]
"핵발전 문제를, 그 위험을 지역에 전가하지 말고 진심으로 서울시민들이라면 그 핵 폐기물을 받아안을 수 있을까에 대해서 답해주시기 바랍니다."
실제로 국회에는 지역 인구수에 비례해 사용후핵연료를 분산해 보관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돼 있습니다.
MBC 뉴스 윤파란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