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정부가 추진 중인 핵 폐기물 임시저장시설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부산에 지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달 초,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가 이같은 계획을 담은 안건을 처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문제는 이사진이 잇따라 교체되고 있는 시점에서 신임 이사의 자질과 낙하산 논란이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에 처음 추진되는 핵 폐기물 임시 저장시설 예정부지는 울산과 맞닿은 고리원전 인근에 위치합니다.
3만3천㎡ 규모로 축구장 4개 면적보다 크고, 1차 사업 예산만 5천776억 원에 이릅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이 같은 건립 계획을 이사회에 상정하려다 돌연 보류했습니다.
이사회 내부에서 핵폐기물 저장시설 강행에 반대 기류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 (지난 달 27일)]
"고리 사용후 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립 기본 계획안과 관련해서 소통이 부족하단 평가가 있어서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연기를 결정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논란이 된 지난 달 이사회 이후 한수원 이사진이 줄줄이 교체되고 있습니다.
이사 13명 가운데, 이미 임기가 끝난 비상임 이사 6명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섭니다.
문제는 이들의 자질입니다.
이달 초 임명된 한 신임 이사는 숙박업에 종사하는 여당 출신 인사로 에너지 관련 이력은 전혀 없습니다.
지원서에는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으로 숙박업소 '플러그 뽑기', '에어컨 필터 청소'를 적어낸 것으로 확인돼 낙하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다른 사외이사 1명도 대통령실 인수위 출신이어서, 한수원에 대한 견제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민은주 /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결국은 정권이나 한수원이 추구하는 것에 거수기 역할을 해주도록 하기 위한 인사는 아닌 지 우려스럽습니다. 특히나 민감한 사안이다 보니까."
한수원은 다음 달 1일 올해 마지막 이사회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고리원전의 '핵 폐기물 저장시설' 건립 안건 처리가 강행될 지 지역 사회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MBC 뉴스 윤파란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lu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