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울경 메가시티를 향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특별연합 규약을 폐지하자는 안건이 울산시의회와 경남시의회 상임위 심사를 같은 날 통과했습니다. 부산시의회의 결정이 남아있지만 '부울경 메가시티'는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민선7기 때 부울경 특별연합을 추진했던 더불어민주당은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지호 기자.
[리포트]
부울경 특별연합은 메가시티 출범을 목표로 민선 7기 3개 도시 단체장이 주도했습니다. 지난 4월에는 행정안전부로부터 특별지자체 승인을 받았습니다.
[CG]
3개 도시가 부울경 특별연합에 공무원 140명을 파견하고 광역의원 27명을 선임해 철도와 도로, 친환경 에너지, 문화관광, 지역혁신, 재난대응 등의 사무를 공동 처리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승인 6개월 뒤, 민선8기 단체장들이 새롭게 선출되면서 폐지 수순을 밟았습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에 실익이 없다며 이달 초 폐지 규약안을 울산시의회에 제출했고, 울산시의회 상임위원회는 울산시가 제출한 원안대로 폐지 규약안을 가결했습니다.
[김종섭 / 울산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최초 준비과정의 미흡함과 실효성 부족으로 인해 더 이상 (부울경 특별연합) 사업 추진은 어렵다고 판단합니다."
민주당 울산시당은 즉각 반발 성명을 내고 시민 의견 수렴 없는 모든 절차는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선호 /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시민들과 제대로 된 토론회 한번 없이 (부울경 특별연합이) 완전히 소멸돼 버린다면 법적조치까지도 취할 생각입니다."
경남도의회는 울산보다 반나절 앞서 이 안건을 가결했습니다. 부산시의회는 공론화 절차를 거쳐 1월 중에 결론을 내릴 예정입니다.
울산시의회는 본회의 의결 과정을 남겨두고 있지만 특별연합 폐지에 찬성하는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전체 시의원 22명 중 21명이어서 사실상 본회의 통과는 무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자] 경남에 이어 울산도 폐지 규약안을 가결하면서 내년 1월로 심사를 보류한 부산시의회의 결정과 무관하게 부울경 특별연합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최지호
영상취재 전상범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choigo@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