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자동차산업이 미래차 위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지만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을 만들던 협력업체들은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자동차 부품 산업계의 변화를 돕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해 변화가 기대된다고 합니다.
새로운 법의 주요 내용을 유희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 법안의 이름을 보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김영주/국회 부의장 (지난 8일 국회 본회의)]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의 전환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 대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 맞춰져 있던 자동차 부품산업이 미래차에 맞춰 변화하도록 촉진하고, 부품 산업과 완성차 산업 간에 미래차 전환에 협력하는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겁니다.
지난해 전국의 자동차 부품산업 종사자 25만여 명 중 미래차 관련 부품을 만드는 인력이 5천여 명으로 2%에 불과할 정도로 미래차 전환이 더딘 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직접 미래차 기술을 연구 개발하거나 산학 협력을 장려해 부품업계에 선진 기술을 이전할 수 있도록 했고, 미래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거나 연구 개발하는 중소기업에는 지원을 강화합니다.
주목할 만한 건 자율주행과 증강현실 등 정보통신 기술의 비중이 늘어나는 미래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이 법이 감안했다는 겁니다.
미래자동차 기술의 범위에 자율주행 등 차량에 들어가는 각종 소프트웨어 기술들도 포함했고, 소프트웨어를 만들거나 서비스하는 업체도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으로 인정해 지원해주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 몰려 있는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자동차 생산 현장에서 곧바로 협업할 수 있도록 울산으로 유치하기도 쉬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두 개 완성차 업체에 의존하던 부품사들의 공급 범위를 다양화하는 방안도 마련됐습니다.
[한무경/국회 산업위원회 의원 (지난 4월 국회 업무보고)]
르노삼성과 한국GM을 접촉해 보면 외투기업은 산업전환을 굉장히 하고 싶어 합니다. 전기차로 기존의 라인을 다 바꾸고 싶어 하는데, 외투기업은 본사가 다 외국에 있기 때문에..
이번 법안에서는 외국인이 투자한 자동차 공장도 미래차로 전환하면 지원을 해 줄 수 있도록 규정했기 때문에, 국내의 미래차 생태계 자체가 커지고 경쟁이 활성화되는 효과도 기대해볼만 합니다.
MBC뉴스 유희정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piucca@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