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이용이 불편한데 혜택도 갈수록 줄면서 울산페이 가입자가 크게 줄었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공공 배달 서비스인 울산페달도 외면받고 있는데요.
울산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정부 예산이 한 푼도 반영되지 않아 효과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조창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선할인에서 캐시백으로 할인 방식을 바꾸며 논란이 일었던 울산페이.
지난해에는 할인율을 10%에서 7%로 축소하기도 했습니다.
혜택이 점점 줄어드는 사이 이용자 수도 급감했습니다.
2019년 도입 당시 4만여 명이던 가입자는 이듬해 30만 명으로, 2022년에는 52만 명까지 늘었지만 1년 뒤 28만여 명으로 줄어든 겁니다.
가입자 수가 줄고 연 매출 30억 원 초과 업체가 제외되면서 가맹점 수도 크게 줄었습니다.
첫해 7천여 곳이던 가맹점은 이듬해 2만 7천여 곳, 2022년 6만 5천여 곳으로 늘었지만 역시 1년 뒤 5만 1천여 개로 줄어들었습니다.
혜택이 줄고 가맹점 조건도 까다로워진 건 모두 예산 부족 때문.
2021년 332억 원이던 국비 지원액은 지난해 71억 원까지 줄었습니다.
문제는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도 지역화폐 예산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손근호 울산시의원/더불어민주당]
"역전이 되어서 시비가 칠십몇 퍼센트에 국비가 이십몇 퍼센트인 상황이거든요. 이게 지금 국비 예산이 지원이 없으면 결국에는 시 재정에 부담으로 갈 수밖에 없습니다."
배달앱 수수료로부터 지역 상인을 보호한다며 도입한 울산페달도 갈수록 힘을 잃고 있습니다.
도입 첫해인 2021년 6만 6천여 건이던 주문건수가 해마다 줄어 올해는 8월 말 기준 1만 1천여 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용이 불편해 큰 인기를 끌지 못한 데다 울산페이와 연동되는 구조로 울산페이 가입자가 줄면서 울산페달 이용도 함께 감소한 겁니다.
국비 지원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갈수록 외면받고 있는 울산페이와 울산페달.
울산시는 대책 마련을 위해 지역화폐 전반을 손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영희 울산시 기업지원과장]
"배달 수수료 증가로 소상공인의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내년 초 울산페이 운영사 선정 시기에 울산페달 운영방안도 검토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울산시는 시중은행에서 개발한 민관협력 배달앱 도입으로 효과를 보고 있는 광주와 춘천 사례도 검토해 최적의 방안을 만들어 낼 계획입니다.
mbc뉴스 조창래입니다.
영상취재:최창원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