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울산과 부산 지역의 대형 조선소를 상대로 가짜 대기정화시설을 판매한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업체와 환경 전문 교수가 짜고 가짜를 진짜로 둔갑시켜 116억 원을 챙기는 사이,
울산과 부산에는 3년 동안 조선소의 대기오염물질이 그대로 유출되고 있었습니다.
이다은 기자.
◀ 리포트 ▶
환경오염물질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선박 도장 작업은 밀폐된 공간에서 이뤄집니다.
그리고 오염된 공기는 정화시설을 거친 뒤 대기 중으로 배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정화시설에 측정기를 넣자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감지됩니다.
◀ SYNC ▶
829(PPM)에서 830(PPM). 이 가지 배관을 통해서 배출 중입니다.
이렇게 오염물질이 감지된 건 이 조선소의 대기정화시설이 가짜였기 때문입니다.
한 정화시설 제조 업체가 대당 30억 원에 판매한 시설인데 정화 능력이 사실상 없었습니다.
부산의 한 대학 환경학과 교수가 정부 출연금으로 기술을 개발했다며 홍보했지만,
알고 보니 이 교수의 연구는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상태였던 겁니다.
그런데도 업체와 교수는 정부 예산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것처럼 속여 울산과 부산 조선소 3곳에 가짜 정화시설을 납품했습니다.
◀ INT ▶ [김태광/ 울산해양경찰서 수사과 형사계장]
납품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기준에 미달된 장비를 보강하기 위해 정화될 수 있는 활성탄을 사용해서 검사를 받아서 납품한 사건입니다.
심지어 해당 교수는 정부 예산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인건비 1억 5천만 원을 빼돌려 개인 용도로 쓰기도 했습니다.
◀ st-up ▶
해경은 울산과 부산지역에 가짜 대기정화시설을 판매한 업체 대표를 구속하고 환경학과 교수 등 3명을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이들이 납품대금으로 받아 챙긴 돈은 116억 원.
이들이 납품한 가짜 시설이 작동되는 3년 동안 울산과 부산 지역에는 정화되지 않은 대기오염물질이 그대로 유출됐습니다.
MBC뉴스 이다은입니다.
◀ END ▶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dan@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