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울산시가 올해 1호 분산에너지특구로 선정되기 위해 막바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울산에서 생산된 전력을 싼값에 공급해 전력 다소비 업종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인데요,
무려 11개 시·도가 도전장을 내밀고 있어 경쟁이 치열할 전망입니다.
홍상순 기잡니다.
[리포트]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에 분산에너지특구 2~3곳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그동안 모든 전력은 한국전력을 통해 거래됐는데 분산에너지특구로 선정되면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를 지역에 바로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울산시는 미포와 온산국가산단 2천만 평을 특구로 신청할 계획입니다.
울산 중견 기업들은 대부분 비상용 자가발전설비를 갖추고 있어 특구로 선정되면 쓰고 남는 전력을 이웃 회사에 팔 수 있게 됩니다.
울산시의 전력 자립률은 2022년 기준 102%.
올해 10월에 원전 2기가 추가로 들어서면 177%로 올라가고, 해상풍력 6.2GW 설비가 들어서는 2030년에는 304%까지 치솟을 전망입니다.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으로 내부 자체 거래가 가능해지고, 차등 요금제가 도입되면 이런 유휴 전력을 산업체에 싸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울산시는 싼값에 전력을 공급하면 2차 전지나 테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업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호동 울산시 경제산업실장(1월13일, 시정 브리핑)]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과 그리고 차등요금제 조기 도입을 통해서 국내 지역 내에 에너지 달성률 기업이라든지 또 데이터 센터라든지 첨단 산업들이 육성할 수 있는 그런 기회를 착실히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하지만 한국전력보다 싸게 전력을 공급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난해 발전원별 정산단가를 보면 원자력은 KW당 66원인데 반해 태양광은 133원, 풍력은 125원으로,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용이 2배나 많습니다.
[박기현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생산 단가 및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생산 기술력을 좀 더 확보해야 하고요,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R&D와 개발 투자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울산시는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꾸려 전력 생산 단가를 낮추는 방안을 에너지 발전업체와 협의 중입니다.
[기자]
현재 울산시를 비롯해 11개 시도가 분산에너지 특구에 선정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MBC뉴스 홍상순입니다.
영상취재:최창원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hongs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