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남도의회와 부산시의회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신속한 판결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잇따라 채택했습니다.
울산시의회도 다음 주 본회의에서 같은 내용의 건의안을 채택할 예정인데요.
지역과 아무 관련이 없는 문제에 부울경 지방의회가 왜 잇따라 직접 나서고 있는지, 조창래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울산시의회는 다음 주 열리는 올해 첫 임시회에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사법부의 신속한 판결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다룹니다.
이 건의안에는 울산시의원 22명 가운데 민주당 소속 2명을 뺀 20명이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건의안은 발의 단계부터 논란이 됐고, 본회의 안건 상정 여부를 두고도 설전이 빚어졌습니다.
[손명희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이런 건의안을 올리기 전에 사법부의 문제는 사법부에 맡기고 우리 의회는 우리 의회에서 해야 할 일을 먼저 해야 한다.."
[천미경 국민의힘 시의원]
"사법부는 거대 야당의 압력에 굴하지 말고 빨리 법과 질서를 위해서 신속하게 진행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민단체도 계엄 사태와 시의원 무면허 운전에도 모두 침묵한 시의회가 당파적 주장을 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절대다수가 국민의힘 소속인 시의회에서 건의안은 이변 없이 채택될 전망입니다.
앞서 경남도의회와 부산시의회에서도 같은 논란이 반복됐습니다.
역시 국민의힘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두 의회 모두 야당의 반발에도 일사천리로 결의안 채택을 진행했습니다.
부울경 의회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회복하고 있는 여당 지지세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최근 지지율이 오르는 것으로 보이자 탄핵 정국 내내 지켜온 침묵을 깨고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에 대한 공세로 전환하고 있는 겁니다.
[도수관 울산대 행정학과 교수]
"탄핵 심판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좀 더 유리한 방식으로 정당이 할 수 있는 일이 뭘까가 상대 정당의 당 대표와 관련된 리스크를 극대화하는 거죠."
[기자]
이번 건의안이 당파적이라는 논란은 여전하지만, 전통적인 지지세를 기반으로 한 국민의힘의 보수세력 결집 시도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조창래입니다.
영상취재: 김능완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