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신뉴스

'수요 둔화에 트럼프 관세'‥ 전기차 악재는?

이용주 기자 입력 2025-02-19 21:23:03 조회수 0

[앵커]

이렇게 지역에서는 기업 투자를 독려하고 지원하고 있지만 대외 악재가 심상치 않습니다.

수요 둔화로 전기차 생산이 일시 중단되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폭탄 관세도 현실화됐습니다.

위기감이 최고조에 이르는 가운데 더 발빠른 대응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용주 기자.

[리포트]

전기차 아이오닉5와 코나EV를 만드는 현대자동차 1공장.

오는 24일부터 닷새간 생산을 일시 중단합니다.

차를 만들어도 팔리지 않자 결국 공장을 세우는 결정을 한 겁니다.

실제 지난달 국내 자동차 수출은 1월 기준 역대 2위를 기록했지만, 전기차는 40% 감소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일시적인 수요 둔화일 뿐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조형제 /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배터리 가격도 내려가고 충전 인프라도 확충되면서 다시 본격적인 순수 전기차로의 전환이 시작될 거라고 다들 예상하거든요."

더 큰 문제는 울산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입니다.

한국은 2016년 체결된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에 따라 승용차에 무관세를 적용받아 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전기차 보조금 폐지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어,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아마 4월 2일에 말씀드릴 겁니다만 (자동차 관세율이) 25% 정도 될 겁니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관세를 10%만 물려도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1조 9천억 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의 64.7%를 차지하는 만큼 여파는 자동차에 그치지 않고 울산 지역 경제 전체에 직접적으로 미칠 전망입니다.

[김진욱 / 울산상공회의소 경제조사팀장]
"아직 협상의 여지가 있는 만큼 추가적인 예외 조치 등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부품과 배터리, 철강 등 자동차와 맞물려 있는 지역 주력산업에 악재가 겹치고 있는 상황.

행정 지원을 넘어선 보다 발빠른 대응과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용줍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용주
이용주 enter@usmbc.co.kr

취재기자
enter@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