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신뉴스

"그린벨트 빗장 풀었다" 도심 확장 청신호

최지호 기자 입력 2025-02-25 21:09:51 조회수 0

[ 앵 커 ]

지난해 정부는 지역에 꼭 필요한 전략사업지를 선정해 개발제한구역 규제를 풀어주기로 하고 사업 제안서를 받았습니다.

최종적으로 전국 15개 사업이 선정됐는데 울산도 3개 사업이 포함됐습니다.

울산시는 50년 넘은 그린벨트 빗장이 풀리면서 대규모 개발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최지호 기자.


[ 리포트 ]

울산의 그린벨트는 전체 면적의 4분의 1인 269㎢입니다.

1970년대 경남 울주군을 경계로 지정된 그린벨트는 광역시 승격 이후 도시 확장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습니다.

민선 8기 들어 울산시는 지방 소멸 위기를 규제 완화로 극복해야 한다는 논리로 그린벨트 해제를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습니다.

지자체들의 공통된 목소리에 국토부는 지역에 꼭 필요한 전략사업지를 선정해 개발제한구역 규제를 풀어주기로 하고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전국 15곳을 선정했습니다

[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을 확대합니다. 이를 통해 국가 및 일반 산단 물류 단지, 도시 개발 사업 등 국가 지역의 다양한 전략 사업을 적극 뒷받침하겠습니다."

울산은 수소 융·복합, 이차 전지, 스마트 산업단지 3곳이 포함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울산시는 708만㎡의 부지를 확보해 부족한 산업 용지를 확보하고 도시 기반 시설을 짓기로 했습니다.

남구 테크노산단은 옥동과 두왕동까지 연결해 복합 주거 시설과 대규모 공원, 만남의 광장 등을 건립하고,

울주군 온산국가산단은 기존 주력 산업에 이차 전지 특화 단지를 확장할 예정입니다.

성안·약사 일반산단은 산업 기반이 취약한 중구에 건립되는 첫 산업단지로 친환경 스마트 산단으로 조성됩니다.

울산시는 사유지 보상과 대체 용지 마련 등 그린벨트 해제 절차만 해도 1년 이상 시간이 걸리지만,

계획대로 개발 사업이 추진된다면 2032년부터 20조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 김두겸 / 울산시장 ]
"획기적인 제도 개선을 계속 이어나가면서 그린벨트를 도시의 성장을 막는 걸림돌이 아닌 지방 경쟁력을 높이는 돌파구로 만들어 갈 것입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을 적용 받지 않고 환경평가등급 제한 없이도 개발 사업을 할 수 있는 규제가 50여년에 풀리면서 울산의 도시 경쟁력 확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최지호입니다.

(영상 전상범·CG 강성우)

◀ END ▶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최지호
최지호 choigo@usmbc.co.kr

취재기자
choigo@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