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대규모 산업단지와 항만 시설, 원자력발전소까지 국가 중요시설이 밀집한 울산은 테러나 유사 시 주요 공격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실제 최근 전쟁에서 소형 드론을 앞세운 타격이 주요 공격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울산시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정부과 군, 관계기관들과 힘을 모아 드론에 대응하는 방호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최지호 기자.
[ 리포트 ]
소형 무인기 드론이 교전 지역에 침투합니다.
전봇대 위를 날아다니는 게 땅에서 보일 정도로 낮게 비행하며 목표 지점으로 이동합니다.
드론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같은 현대전에서 군사 주둔지를 공격하고 공항과 발전소, 주요 산업시설을 파괴하는 무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규모 국가산업단지와 항만 시설, 원자력 발전소까지 밀집해 있는 울산도 언제든 드론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될 수 있는 곳입니다.
때문에 드론의 저고도 비행을 방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습니다.
[ 강관범/육군 제53보병·사단장 ]
"드론의 위협은 결코 먼 미래가 아닌 우리가 지금 직면한 미래입니다. 그리고 드론의 위협은 '전후방은 따로 없다'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 지역의 국가중요시설을 보호해 달라는 요청서를 정부에 제출한 울산시는,
무허가 불법 드론 침입을 탐지했을 때 즉시 추적에 나서 무력화하고 통신 신호를 차단해 두절시키는 통합 방호 체계를 14개 기관과 함께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군과 경찰, 산업부와 석유공사, 공항과 항만,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힘을 합쳐 정체 불명의 드론 위협을 신속하게 막아내겠다는 겁니다.
[ 김두겸 / 울산시장 ]
"울산은 원전, 석유화학, 조선 같은 국가 주요시설들이 매우 밀집돼 있는 만큼 드론 공격에 대비한 방어 체계를 잘 구축해서 안전한 울산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경북 구미시가 25억원을 들여 반경 5km의 대 드론 체계를 시범적으로 처음 구축한 가운데,
보다 광범위한 권역에 방호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울산은 최소 1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MBC뉴스 최지호입니다.
(영상취재 김능완·CG 강성우)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choigo@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