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울산 남구 공업탑로터리 주변에 민간임대주택 건설이 추진되자 주민들이 찬반으로 나뉘어 맞서고 있습니다.
찬성 주민들은 개발을 서둘러서 주거 여건을 개선해야한다는 입장인데, 땅값 비싼 지역에 민간임대주택 사업은 적절하지 않다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홍상순 기잡니다.
[리포트]
울산 남구 신정동 푸른마을과 동산마을 일대입니다.
지은 지 40년 이상 된 단독 주택과 빌라가 밀집해 있습니다.
골목길도 좁아 차량 통행이 불편합니다.
최근 한 건설 시행사가 이 일대 주택 203채를 모두 사들여 994세대 규모의 민간임대주택을 짓겠다고 나섰습니다.
낙후된 지역의 개발 소식에 주민 51%가 시행사에 동의서를 제출했습니다.
찬성 주민들은 20년 동안 번번이 개발이 무산돼 왔다며 이번이 마지막 희망이라는 입장입니다.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 찬성 주민(음성변조)]
"이 기회가 아니면 개발 안 됩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어느 시행사, 어느 시공사가 와도 주민들이 95% 찬성해야 하는데 그게 안 되는 거예요. (반대하는) 몇 분 때문에"
시행사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금융 지원을 받기 위해 울산시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을 요청했습니다.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되면 토지 면적의 2/3 이상만 협의 보상을 완료해도 나머지 1/3은 강제수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업이 지지부진해지면 장기간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없어 주민들이 큰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또 반대 주민들은 비싼 땅을 사들여 민간임대주택 사업을 추진한 전례가 없다며 사업 추진을 위한 끼워 맞추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 반대 주민(음성변조)]
"민간업체가 2016년부터 9년 가까이 있으면서 이거 한다 저거 한다 하면서 했던 그런 부분들에 대한 신뢰도가 바닥이고 자금력이 없기 때문에 이 시행업체를 믿을 수가 없습니다."
울산시는 기반시설과 주민 정보 제공 부족 등을 이유로 사업 제안을 1차 불허했지만,
시행사는 미비한 점을 보완해 계속 추진하곘다는 입장입니다.
울산에서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된 곳은 남구 야음과 북구 농소 등 2곳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하는 공공지원 사업인데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자]
두 곳은 지구 지정을 받은 지 3-4년이 지났지만 사업 후순위에 밀려 지구계획 승인절차조차 밟지 않고 있습니다.
울산시는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이 시행된 지난 2015년부터 지금까지 민간 시행사가 제안한 12건을 모두 반려했습니다.
MBC뉴스 홍상순입니다.
영상취재:최준환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hongss@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