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전인 고리 1호기 해체작업이 시작되면서 수주전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500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본격 경쟁에 들어간 건데요,
그런데 한수원이 고리 1호기 해체 첫 입찰을 하면서 울산은 지역 혜택을 주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공고한 고리 1호기 일부 시설 해체 공사 입찰 안내서입니다.
사용 후 연료 반출 전에 실시하는 터빈과 발전기 등 설비 해체 공사로, 추정 공사비는 227억 원 규모입니다.
입찰참가 자격엔 최근 10년 간 환경설비 공사 기준 원자력 발전소 공사실적과 59MW 이상 발전소 해체실적 등 까다로운 조건을 달았습니다.
그런데 부산광역시 소재 업체는 실적요건 제외라는 예외 조항이 달려 있습니다.
공동도급을 통해 부산지역 업체 30%가 참여하도록 혜택을 준 겁니다.
이런 조건으로 입찰이 실시될 경우 고리1호기와 인접한 울산지역 업체는 공사 참여기회가 완전히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리 1호기가 처음인 국내 원전해체 시장에서
실적조건을 맞출 업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고리1호기 입찰 참여업체 관계자(변조)]
"울산에는 원전이나 발전소 관련 부분 실적은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부산보다 훨씬 큰 석유화학 플랜트 공사에 들어가서 해체작업이라든지 공사를 수행한 경험들이 부산 업체보다 경쟁력있는 업체가 많다 이거죠"
불과 몇 백미터 거리를 두고 상업용 원전을 보유한 울산과 부산은 각각 125억원 씩을 출연해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을 공동 유치했습니다.
원전해체산업 육성에 뛰어든 두 광역시의 경쟁이 과열되자 연구원 행정동은 부산 기장군에, 연구동은 울산에 소재하도록 건물을 지을 만큼 균형발전을 외쳐 왔습니다.
하지만 정작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후 첫 입찰에서부터 부산에만 입찰 가점을 주면서 울산지역 환경단체의 반발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김수홍 (사)한국원전환경복원협회 회장]
"(방사능) 안전을 가장 위협받는 부분은 (고리1호기) 생활권에 있는 울산 시민들인데, 그 분들이 위협을 받는데 원전해체산업이 제대로 원활하게 진행되지는 않겠죠"
이같은 반발에도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번 고리 1호기 해체사업 입찰공고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수정 공고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MBC뉴스 이상욱입니다.
영상취재: 최영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sulee@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