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가 만난 사람 최신뉴스

[MBC가 만난 사람] 이동주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추진단장

유희정 기자 입력 2025-09-01 08:59:35 조회수 0

[앵 커]

울산이 국제정원박람회 유치에 성공한지 1년이 되었습니다. 성공적인 박람회 개최를 위해 추진단도 만들어져 왔는데요. MBC가 만난 사람, 오늘은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이동주 추진단장 모시고 박람회가 어떻게 준비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단장님 안녕하십니까. 

Q. 울산이 국제정원박람회 유치에 성공한지 1년이 되었습니다. 지난 1월부터는 단장님도 취임하셔서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가셨을 텐데요. 그동안 어떤 준비를 해오셨는지 간단히 소개 부탁 드립니다.

현재 박람회장 조성과 도시숲 조성 설계를 착수했고 종합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전시·문화·홍보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교통·환경 인프라 개선, 남산로 문화광장 조성, 매립장 기반 조성, 배수펌프장 정비 등 다양한 사업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대규모 국제행사를 추진하기 위한 별도의 조직위원회 설립을 추진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정관 등 24개의 관련 규정을 제정하는 등 많은 절차들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11월 출범식을 가지고 내년 1월 부터는 정식 조직위원회에서 모든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Q. 울산시민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점 중의 하나가 삼산매립장 부지를 정원으로 조성한다는 내용입니다. 이곳에서 박람회를 여시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어떻게 조성하실 계획인지 궁금합니다.

우리 시가 이번 2028울산국제정원박람회에서 삼산여천쓰레기매립장을 핵심 공간으로 선택한 이유는 과거 산업화의 흔적이자 기피 시설이었던 쓰레기매립장을 시민들에게 생태정원으로 돌려드린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가집니다.

국제정원박람회를 주관하는 국제기구인 AIPH에서도 이 점을 선정사유에 포함하여 큰 점수를 부여한 것 같습니다.

우리 울산이 대한민국의 산업수도로 성장했지만, 이제는 환경과 생태의 가치를 함께 담아내야 할 때라는 시대정신을 반영한 것이며, 매립장의 변신은 도시브랜드를 바꾸는 계기이자, 국제사회에도 울산의 친환경 미래도시 도약을 보여주는 상징이 될 것입니다.

Q3. 삼산여천매립장 부지에서 박람회를 개최한 이후에 매립지로 다시 돌아가지는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활용할 예정이신지요?

우리 추진단에서는 처음부터 ‘사후 활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여천매립장은 박람회가 끝난 뒤 27홀 규모의 ‘정원 속 파크골프장’으로 이용될 수 있을 예정입니다.

박람회 이후 우리가 조성해 놓은 이 훌륭한 정원과 정원문화 그리고 많은 인프라들을 이용하여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교두보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Q. 예정대로라면 박람회는 태화강 국가정원 구역과 삼산여천매립장 구역으로 나뉘어서 진행됩니다. 두 지역의 성격과 위치가 많이 다른 편인데, 하나의 박람회 안에서 두 구역을 어떻게 조화시킬 예정이신지 궁금합니다.

두 장소는 서로 다른 특성과 스토리텔링을 지닌 매력적인 장소입니다. 그래서 이 두 장소를 연결하는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은 아주 중요한 사안입니다. 그래서 지난 3월부터 연계교통수단과 교통체계를 개선하는 용역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특히, 태화강 물길을 활용한 수상 교통수단의 도입은 박람회의 '킬러 콘텐츠'가 될 것이므로 지난 6월 폰툰 보트 시범 운행을 통해, 태화강 수상교통시설 도입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박람회장과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간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수소트램 운행도 준비 중입니다.

 그리고 육상 둔치를 활용한 자율주행 셔틀버스 등 현지 여건에 맞는 여러 가지 교통수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중이며, 현재 있는 도로를 활용한 대형셔틀버스를 유용하게 구간별로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두 박람회장 간의 연결을 도모하는 등 현지 여건에 맞는 교통수단을 찾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현재 도로에서 박람회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교통체계 개선도 추진 중이며, 두 구역의 연결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앵 커]

네. 박람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는 동시에, 울산 시민들이 오랫동안 누릴 수 있는 양질의 녹지 공간이 박람회를 계기로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유희정
유희정 piucca@usmbc.co.kr

취재기자
piucca@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