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지방정부와 노동계, 경영계, 시민사회가 경제 현안과 노사 관계에 머리를 맞대는 노사민정협의회가 올해 처음 열렸습니다.
이번 협의회의 초점은 울산 3대 주력산업 가운데 하나인 석유화학에 맞춰졌는데요.
긴 불황의 터널에 갇힌 업계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 요구에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최지호 기자.
[리포트]
울산 석유화학단지는 1972년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나프타를 분해하는 공정을 시작으로 첫 가동됐습니다.
8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의 기초 원료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발전시키며 울산의 주력 업종으로 성장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314개 석유화학 기업이 매출 111조원, 수출 370억달러 실적을 기록했지만,
이후 중국의 저가 공세와 원유값 상승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장기 불황의 늪에 빠졌습니다.
울산은 물론 국가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석유화학업계에 위기감이 감돌면서,
울산시는 노동계와 상공계, 민간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석유화학 산업의 회복 방안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노사민정 협의회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석유화학 업계의 현안을 주제로 고용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위한 정부 건의안을 심의했습니다.
특히 노동계는 만명이 넘는 조합원들의 생사가 달린 문제라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요구했습니다.
[김충곤 한국노총 울산본부 의장]
"울산의 석유화학산업 위기 극복과 산업 경쟁력력 확보에 우리 노동계가 선제적으로 앞장서겠습니다. 무엇보다 산업 재편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되면 고용 유지 지원금과 직업능력개발 지원비, 생활자금 융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3개월 이상 고용이 감소하는 등의 부정적인 지표가 나타나야 하는데, 지역 석유화학업계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과 기업들의 경영 효율화 전략으로 버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두겸 울산시장]
"석유화학 산업이 흔들리면 울산 경제 전반이 흔들립니다. 노사민정이 함께 힘을 모아서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일자리를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울산처럼 석유화학 업체가 밀집한 전남 여수가 지난달 고용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된 가운데,
거듭해서 절실하게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울산 지역 노사민정의 한 목소리에 정부가 어떤 답을 내놓을 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mbc뉴스 최지호
영상취재 김능완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choigo@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