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민주노총이 26년 만에 국회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노동 현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울산시가 올해 처음 연 노사민정협의회에는 민주노총이 초청받지 못하면서 지역에서의 노정 간 온도 차는 여전한 모습입니다.
이다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처음 열린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방정부 주도로 노동계와 경영계, 시민사회가 함꼐 위기 극복에 힘을 모으는 자리였습니다.
하지만 이 자리에 양대 노총 가운데 하나인 민주노총은 초대받지 못했습니다.
울산시는 2023년 노사민정협위회 출범 당시 민주노총이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노사민정협의회는 모든 경제 주체가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경제와 노사관계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현안을 해결하는 협의체.
‘대화의 출발점’이란 취지에 비춰볼 때 노동계의 한 축이 빠진 건 대표성과 신뢰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특히 최근 울산의 경제 현장은 다양한 갈등과 불안 요인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역 최대 사업장인 현대자동차와 HD현대중공업이 9년 만에 동시에 파업에 나서고 있고,
울산 지역 홈플러스 절반이 폐점을 예고하면서 대규모 고용불안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산업 위기만큼이나 당면한 과제가 산적해있지만 이번 협의회에서는 전혀 다뤄지지 않았습니다.
울산의 노사문제가 긴 역사를 거쳐오는 동안 커진 지방정부와 노동조합 사이의 불신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최용규 / 민주노총울산지역본부 본부장]
"사용자나 정부의 사람들보다 민주노총에서 들어가는 인원이 훨씬 적다 보니 항상 결정할 때는 밀리거나 반영이 안 돼서 불신하게 되는 계기가 됐던 것 같습니다."
민주노총이 국회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에 26년 만에 참여를 결정하며 노사정 대화에 물꼬가 트였지만,
여전히 울산에서는 다양한 목소리가 제도권의 틀 안에서 균형 있게 다뤄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기자]
노동자와 기업, 시민사회 모두가 믿을 수 있는 협의 구조를 만드는 게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이다은 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dan@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