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신뉴스

"호황이지만 위기"‥ "조선업 체질 개선해야"

정인곤 기자 입력 2025-09-11 18:58:04 조회수 1

[앵 커]

조선업이 긴 불황의 터널을 지나 다시 최대 호황을 맞고 있지만, 반대로 가장 큰 위기에 직면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십년 동안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누적되면서 노동자들이 떠나고, 호황이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인데요.

정치권과 노동계, 학계가 조선업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며 머리를 맞댔습니다.

정인곤 기자

[리포트]

조선산업기본법 제정을 위해 정치권과 노동단체, 학계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초대형 사업인 마스가 프로젝트로 또 한번의 호황기를 기대하고 있는 우리나라 조선업이 반대로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긴 불황의 터널을 지나 다시 날갯짓을 하고 있지만 호황이라는 말은 아직 숫자로만 존재할 뿐입니다.

실제 세계 최대 조선소가 있는 울산 동구 지역 경제는 회복될 줄 모르고,

노동자들이 조선업을 등지고 떠나 외국인 노동자 모셔오기에 급급한 상황입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조만간 일할 사람 없는 조선소가 현실이 될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오세일 / 금속노조 현중 사내하청지회 부지회장]

"5년, 10년 지나면 현대중공업에서 배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 과연 내가 누구랑 일을 할 수 있을까 이런 걱정들 하시거든요."

호황 속 위기를 맞이하게 된 건 조선업계 자체가 수십 년 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어 왔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제조업으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으로 건설업과 유사한 조선업 특성상,

복잡하고 체계가 잡히지 않은 원·하청 구조와 일감에 따라 단기 노동자들로 채워지는 현장이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호황 시기에는 이런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침체기 속에 체계가 없이 허약한 이면이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겁니다.

[김린 교수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해산물 막 이렇게 해서 밑에 시가라고 적혀 있잖아요. 그래서 조선업도 약간 이런 건가라는 생각이 좀 들었어요."

불공정 하도급과 임금체불 등 건설업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생겨난 건설산업 기본법처럼 조선업도 관련법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무질서한 하도급과 노동시장의 이중성 문제를 관련법 제정으로 개선해, 업계 호황이 노동자와 지역 경제로 선순환되도록 하자는 겁니다.

[윤종오 / 국회의원]

"수주도 많이 한다는데 동구 경제는 왜 이렇게 어려운가‥ 결국 이제 고용 구조가 아직까지 왜곡돼 있기 때문에‥"

다시 찾아온 조선업 호황에 발 맞춰 체계적 구조를 만들자며 제정 준비가 시작된 조선산업기본법은 내년 초 발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정인곤입니다.

(영상취재 : 최영)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정인곤
정인곤 navy@usmbc.co.kr

취재기자
navy@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