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길을 걷다 보면 전동킥보드가 아무렇게나 놓여 불편함을 겪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지자체가 신고 단톡방까지 운영하고 있지만 강제성이 없다 보니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다은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인도 곳곳에 전동킥보드가 덩그러니 방치돼 있습니다.
시민들은 킥보드를 피해 걸어야 하는 실정입니다.
횡단보도 입구도 예외가 아닙니다.
보행로를 막아 통행을 방해합니다.
[자전거 이용객(음성변조)]
안 좋지. 되게 거슬리지요. 불편합니다.
주차 금지 표지판 옆에도 전동킥보드가 버젓이 세워져 있습니다.
[기자]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은 이렇게 전동 킥보드 주차장으로 변해버렸습니다.
편리한 이동 수단이지만, 무법자처럼 도로 곳곳에 방치돼 있는 겁니다.
불편을 줄이겠다며 울산시는 신고 단체채팅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소와 시간, 사진을 올리면 구청이나 업체 직원이 치우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법적 강제력이 없다 보니 실제로는 방치된 채 그대로인 경우가 많습니다.
가게 정문을 전동킥보드 여섯 대가 둘러싼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기자]
전날 오후 신고가 접수된 장소입니다. 인도위에는 여전히 통행을 방해할 정도로 킥보드가 방치되어 있습니다.
상인들은 직접 신고하고, 손님들의 민원까지 감당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최진호 / 카페 사장]
넘어져 있거나 아니면 이게 보행할 때 힘들 수준으로 한 번씩 그런 부분이 있어가지고 손님들이 사장님 앞에 킥보드 치워야 돼요라고..
울산시는 강제 수거를 위한 조례 제정을 추진했지만, 상위법이 없어 중단된 상태입니다.
현 정부의 공약 사항이자 국회 계류 법안도 있어, 제도 마련을 기다리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비양심적 이용 탓에 ‘도로 위 무법자’가 돼버린 전동킥보드.
시민 불편은 커지고 있지만, 법 제정 전까지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실정입니다.
MBC 뉴스 이다은입니다.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dan@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