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밝히기 위한 수사도 시작됐습니다.
구조물 아래부터 해체해 놓고 위에서 절단 작업을 한 공사 방식이 적절했는지,
이번 공사를 발주한 한국동서발전의 책임은 없는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정인곤 기자
[리포트]
매몰자 수습에 속도가 붙으면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도 본격화됐습니다.
경찰은 해체작업 계획서를 확보하고 관련자 소환 조사도 시작했는데,
계획서가 제대로 작성됐고 작업자들에게 공유됐는지, 철거 과정에서 안전 관리는 어떻게 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철거 작업이 끝나 불안정한 기둥 위에 작업자들이 올라가 일하도록 지시한 것이 적절했는지가 쟁점입니다.
이번 사고의 원인이 된 해체 작업은 한국동서발전에서 일감을 받은 하청업체가 맡았습니다.
[김성환 /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용역은 불가피해 보였는데 문제는 그 폭파 전문 업체에 정규직이 1명이고 나머지가 다 비정규직이었다는 겁니다."
고용노동부는 원하청 간 작업지시 체계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범위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일반적인 건설 공사의 경우 발주처는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이 아니지만, 이번 사건은 구조 작업이 끝나는 대로 면밀히 따져보겠다고 밝혔습니다.OUT)
만약 발주처가 건설 과정을 관리했다면 함께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동서발전은 지난 5년간 산재 피해자의 94%가 하청 노동자일 정도로 하청에 재해가 집중돼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C뉴스 정인곤입니다.
(영상취재 : 최영)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navy@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