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최신뉴스

"조선업 외국인 필수"‥ "더 이상은 안돼"

정인곤 기자 입력 2025-11-24 21:34:44 조회수 6

[앵커]

울산시가 법무부가 주관하는 광역형 비자 시범 사업에 선정되며 내년까지 지역 조선업체에 이주 노동자 추가 투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동구와 노동계가 지자체와의 협의 실종과 숙련공 양성을 이유로 이주노동자 추가 투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나섰습니다.

정인곤 기자

[리포트]

긴 침체기를 벗어나 초호황을 맞은 조선업.

HD 현대중공업은 올해 수주 목표의 90%인 116척을 수주하며 3년치 일감을 확보했습니다.

여기에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 '훈풍'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고 있지만,

문제는 이렇게 많은 수주 선박을 건조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일은 힘든데 보수가 적다보니 구하기 힘든 인력 공백은 외국인으로 빠르게 채워지고 있습니다.

이미 현대중공업 현장에만 7천여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을 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 더해 울산시는 인력이 더 필요하다며 광역형 비자 시범 사업을 통해 이주노동자 취업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정작 조선소가 밀집한 동구 지역에서는 이런 울산시의 움직임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노동현장에서는 단기 이주노동자 대거 유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숙련공 양성도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김동엽 / HD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사무국장]
"이주 노동자들도 말 안 들으면 내보내고 또 다른 노동자를 채워가고 있는 그런 상황이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지역사회도 우려가 큽니다.

낮은 임금의 대부분을 본국으로 보내는 이주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차지하면 조선업 호황에도 지역 경제는 침체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겁니다.

[김종훈 / 동구청장]
"광역 비자에 대해서도 논의는 없었고요. 법무부에서 쿼터를 풀어줄 때 외국인 근로자를 늘려줄 때도 기업과 법무부가 같이 협의를 해서 진행을 하지 지자체와는 협의도 하지 않습니다."

울산시는 과도한 우려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광역형 비자 사업은 한시적으로 이주노동자 440명을 조선업에 투입하는 계획으로 추가 확대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는 겁니다.

또 외국인정책에 따라 동구 지역에 지원을 확대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중 / 울산시 정책기획관]
"우리 시에서 (지원이) 좀 부족하죠. 그런 부분은 조금씩 조금씩 저희가 이제 시행하면서 예산이 계속 그쪽으로 지원이 되도록 할 테고‥"

모처럼 맞은 호황 속에 일감은 넘쳐나지만 일할 사람은 부족한 조선업.

조금씩 빈 자리를 채우던 이주노동자가 전면에 등장하면서 지역 내 진통이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정인곤입니다.

(영상취재 : 최영)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정인곤
정인곤 navy@usmbc.co.kr

취재기자
navy@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