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고금리 여파 울산 상업용 부동산 거래 반토막
고금리 여파로 지난해 4분기 울산지역 상업 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울산지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건수는 모두 161건으로 전년 같은 분기에 비해 59.4%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연간 울산지역 상업업무용 부동산 ...
이상욱 2023년 02월 13일 -

한국조선해양·SK가스, 온실가스 감축 특별상 수상
울산지역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비영리기구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주관하는 시상식에서 잇따라 수상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한 데 이어 암모니아추진선 등 친환경 조선해양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한 공로를 인정받아 탄소경영 특별상을 수상...
이상욱 2023년 02월 13일 -

부동산 경기 급랭.. PF 연체잔액 1조 돌파
대우건설이 울산 동구의 주상복합 아파트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례까지 나오면서 금융권의 프로젝트파이 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카드사를 제외한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1조1천4백억 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났으며,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 잔...
이상욱 2023년 02월 12일 -

석유화학 기업들, 지난해 줄줄이 적자 전환
나프타 가격 상승과 공급 과잉으로 울산지역 석유화학기업들이 지난해 줄줄이적자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손실이 7천584억원으로 전년 1조 5천억원 대비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습니다. SK케미칼도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2천305억원으로 전년 대비 58.5...
이상욱 2023년 02월 12일 -

울산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 모집
울산경제진흥원은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을 오는 22일까지 모집합니다. 모집대상은 1인 창조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로,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5인 미만의 공동사업자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입주기업에게는 울산벤처빌딩 6층 내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며, 사무공간을 비롯해 교육실과 회의실을 무상 사용할 수 있...
이상욱 2023년 02월 12일 -

울산중기청, R&D 인력 채용하면 연봉 절반 지원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합니다. 중소기업이 직접 연구인력을 채용할 경우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하며, 공공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지원할 경우에는 파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6년간 지원합...
이상욱 2023년 02월 11일 -

울산 화학업계 4조 2교대 도입 '워라벨' 확산
울산지역 석유화학기업과 제련소를 중심으로 '4조 2교대' 근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산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노사는 현재 4조 3교대 근무제를 4조 2교대로 바꾸는 안에 대한 찬반투표 결과 조합원 96%의 찬성으로 가결하고 지난 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이에 앞서 고려아연 온산제련소는 생산직 직원들을 대상...
이상욱 2023년 02월 11일 -

지난해 울산 부동산 중개업소 203곳 폐업
울산지역 주택거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지난해 부동산 중개업소가 줄줄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울산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부동산 중개업소 가운데 폐업한 곳은 전체의 8.4%인 203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4분기 울산지역 부동산업 생산지수도 102.5로 1년 전과 비교해 14.3% 하락...
이상욱 2023년 02월 10일 -

현대차그룹, 튀르키예 지진 성금 200만 달러 지원
현대자동차그룹은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200만 달러 규모의 구호성금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성금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전달돼 현지 구호 활동과 피해 복구를 위해 쓰이게 될 예정입니다. 이와 별도로 현대차 튀르키예 현지 법인은 매몰 현장 구조에 필요한 절단기와 그라인더,식품 지원에 ...
이상욱 2023년 02월 10일 -

아파트 입주 3달 연기 일방 통보...보상은?
[앵커] 원자재 수급 등이 어려워 울산의 한 신축 아파트 단지에서 입주예정일이 3달이나 지연되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 때문에 입주민 피해가 예상되는데, 건설사는 구체적인 입주민 보상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이용주 기자입니다. [리포트]공동주택 380세대와 오피스텔 200호실이 들어설 동구의 한 ...
이용주 2023년 02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