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부산
-

[부산] 해양플랜트산업 "친환경 기술이 곧 경쟁력"
[앵커] 요즘 업계를 막론하고 '친환경'이나 '탈탄소' 같은 주제가 화두죠. 해양플랜트 산업도 그렇습니다. 해양플랜트의 경쟁력이 기존 석유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조선해양 업계가 친환경 기술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김유나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래 시장을 주도할 조선 해양 플랜트 분야 친환경 기술이 한 자리...
유영재 2022년 10월 14일 -

[부산] "원전 지역은 전기요금 인하해야"
[앵커] 전국의 주요 발전소는, 대부분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정작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 주민들은 매일 위험 부담을 안고 사는 반면, 전력 대부분을 사용하는 서울 수도권 주민들은 가만히 앉아서 혜택만 누린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
유영재 2022년 10월 13일 -

[부산] 동백전 국비 요구 봇물... 국회서 되살릴까?
[앵커] 내년도 정부의 지역화폐 예산이 한푼도 배정되지 않으면서 부산의 동백전도 존폐위기에 몰렸습니다. 부산시는 자체 예산을 들여서라도 동백전은 이어간다는 방침인데... 발행 규모와 실행 계획은 불투명합니다. 국회가 나서서 예산을 되살려야 한다는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
유영재 2022년 10월 12일 -

[부산] 바다 점령한 폐타이어...해양쓰레기 8천톤
[앵커] 지난해 부산 연안 바닷속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8천 톤에 이릅니다. 항만에서 나온 폐타이어가 많았는데 수거된 건 극히 일부고, 실제 바닷속엔 얼마나 더 많은 쓰레기가 쌓여있을지 전문가도 추정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김유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영도 하리항 바닷속입니다. 거대한 장어잡이 통발이 가...
유영재 2022년 10월 11일 -

[부산] 부울경 제 3의 길로 활로 찾나 ?
[앵커] 부울경 메가시티가 사실상 좌초된 가운데 낙동강을 끼고 있는 6개 기초자치단체가 새로운 협의체 구성을 선언했습니다. 조건이 비슷한 작은 규모의 자치단체들이 먼저 머리를 맞대고 서로의 문제를 해결해 보기 위해서입니다. 정세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과 양산 김해의 자치단체장들이 새로운 협의체 출범을 ...
유영재 2022년 10월 10일 -

[부산] BTS 공연 10일 앞으로... 드론 띄워 교통상황 중계
[앵커] 부산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방탄소년단의 콘서트가 1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5만 명 이상의 관객이 부산에 한꺼번에 몰릴 전망이어서 교통대란도 우려되는데요. 부산시는 시내에 차량 진입을 최대한 억제하고 내외국인 모두,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최대한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윤파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
유영재 2022년 10월 06일 -

[부산] 부산 상수도 매년 360억 '줄줄'
[앵커]부산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만들어진 뒤 약 10% 정도는 노후 상수도관 파열 등으로 중간에 빠져 나갑니다. 1년에 약 360억 원 상당의 물이 줄줄 새어 나가고 있는 건데요. 최종 도착지인 가정까지 도달하는 물의 비율, '유수율'을 높여야하는데, 지난 10년간 제자리 걸음입니다. 김유나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로 한 ...
유영재 2022년 10월 05일 -

[부산] 부산의 '국보급 모래톱' 유네스코 인증 받나
[앵커] 부산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강과 바다, 산과 섬이 공존하는 천혜의 지질 자원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겠다는 것입니다. 유네스코 현장 실사단이 방문한 현장을 윤파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드넓은 강줄기, 동해바다와 만나는 낙동강 끝자락입니다. 아미산 전망대에 올라서면 ...
유영재 2022년 10월 04일 -

[부산] TK신공항 밀어주는데.. '조용한' 가덕도신공항
[앵커] 부산시는 가덕도신공항을 2030엑스포와 연계해 추진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늦어도 2029년에는 가덕신공항이 국제 물류 공항으로 개항을 해야 하는데.. 정부의 추진 의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국토부장관은 오히려 대구신공항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입니다. 윤파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현재 우리나라에서 계획 중...
유영재 2022년 09월 30일 -

[부산] 도심 속 흉물된 해양레저특구
[앵커] 해운대구는 해양레저특구로 지정돼 있습니다. 이 조례에 따라, 해양레저시설 4곳이 지어졌는데, 이 중 3곳이 운영 중단 상태입니다. 대부분 수익성에 문제가 있었던 탓인데, 민간에만 맡길 게 아니라 지자체가 나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송정해수욕장 한쪽에 자리...
유영재 2022년 09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