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 경제
-

한국 조선, 지난달 수주 중국에 밀려
지난해 수주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줬던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수주량에서도 중국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한 달간 전 세계 선박 발주는 전달 대비 72% 증가한 307만 CGT로, 4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국가별 수주량은 중국이 147만CGT로 가장 많았고 한국 138만CGT, 일본 9만CGT 순을 보...
이상욱 2022년 02월 09일 -

SK, 현대차 제치고 대기업 집단 2위 등극
2006년 이후 줄곧 대기업 집단 3위를 유지해오던 SK가 지난해 처음으로 현대차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집단의 공정자산 합계 순위에 따르면 SK는 지난해 3분기 기준 공정자산이 270조 7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13.0% 증가하며, 최초로 대기업집단 순위 2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2006년이...
이상욱 2022년 02월 09일 -

울산 오피스텔 전셋값 전국 최고인데도 '전세 품귀'
앵커| 전국적으로 오피스텔 전세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울산은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의 오피스텔 전셋값이 전국 최고 수준인데다 비싼 가격에도 전세가 없어 특히 사회초년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인곤 기자리포트| 울산 남구의 한 주거용 오피스텔. 지은 지 6년된 신축 ...
정인곤 2022년 02월 08일 -

울산상의, 고용노동부에 조선업 작업 재개 요청
울산상공회의소는 현대중공업에 내려진 작업중지명령을 철회해 줄 것을 고용노동부에 건의했습니다. 울산상의는 작업중지명령으로 직영 근로자 450명과 7개 협력사 근로자 570명이 일손을 놓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작업중지명령이 더 길어질 경우 지연된 공정 만회를 위한 작업 강행으로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질 ...
이상욱 2022년 02월 08일 -

코로나19 이후 동남권 수출 감소..전국의 3배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동남권 수출업체의 충격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NK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첫 해인 2020년 동남권 수출은 전년보다 15.9% 감소해 전국 평균 감소율 5.5%를 훨씬 웃돌았습니다. 특히, 동남권 5대 수출 품목을 보면 지난해 휘발유와 승용차는 수출이 증가했지만 경...
이상욱 2022년 02월 08일 -

지역 산업계, 오미크론 확산..비상 대응 강화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지역 산업계가 비상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 달부터 필수 인원을 제외하고 전원 재택근무를 하고 있으며, 근무 교대 시간에 맞춰 공장 전체를 방역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전 직원들에게 1인당 4개씩 자가진단키트를 배포했으며,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 재택근무...
이상욱 2022년 02월 08일 -

울산 2030세대 아파트 매입 비중 역대 최저
전국적으로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늘었지만 울산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030세대의 울산권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0.6%로, 이 조사가 시작된 2019년의 35.1%, 2020년 33.4%를 크게 밑도는 수치입니다. 구·군별로는 북구의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고, 울주군이 ...
이상욱 2022년 02월 08일 -

상승세 꺾인 울산 아파트값...하락세 본격화되나?
앵커| 새해 들어 울산지역 아파트 값이 약 2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강력한 대출규제와 금리인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인 관망세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입니다. 이상욱 기자 리포트|울산 중구에 있는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이 아파트 전용면적 59㎡ 한 채는 지난 2...
이상욱 2022년 02월 07일 -

현대미포조선, 임금 협약 조인식
현대미포조선 노사가 오늘(2/7) 울산 본사에서 2021년 임금협약 조인식을 가졌습니다. 노사는 지난달 27일 기본급 4만원 인상과 격려금 200만원 등을 포함한 2차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가결되며 임금협상을 마무리했습니다.
정인곤 2022년 02월 07일 -

지난해 주택 인허가 50%↑..착공·분양은 감소
지난해 울산지역 주택 인허가는 크게 늘어난 반면 착공과 분양 물량은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인 울산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990가구로 전년대비 50.3% 증가해 7대 특·광역시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주택 착공 물량은 6천 926가구로 전년대비 18.8% 감소했고, 공동...
이상욱 2022년 02월 07일